LG경제硏, “경기침체 장기화시 가계부채가 소비위축 요인”
2017-11-17 전근홍 기자
[매일일보 전근홍 기자] 향후 경기 전망이 악화 되거나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내려가면 가계부채가 소비를 크게 줄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17일 ‘미래 부실위험 높이는 가계부채, 현재 소비에는 플러스 요인’이라는 보고서에서 “앞으로 경기침체, 자산가격 하락, 신용경색 등 예기치 못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과다부채 가구를 중심으로 소비위축이 커질 잠재적 위험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이 연구원은 또 “현재 부채를 늘리고 있는 가계는 미래의 예상소득을 당겨 쓰거나 부채로 구매한 자산으로부터 가계 상승, 운용수익 등을 기대하고 있다”며 “실업 등으로 소득이 많이 줄어들거나 자산가격이 급락하면 부채 상환이 어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도 부채를 많이 보유한 가구가 급격히 소비를 줄였다는 연구결과는 많다.특히 보고서에서는 “지난해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빨라진 데다 최근 몇년 간 과대부채 가구가 소폭 늘어난 것으로 보여 가계부실의 위험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종합적으로 진단했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현재 가계부채 잔액은 1257조3000억원으로 올해 상반기 54조2000억원 늘었다.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1년 사이 125조7000억원(11.1%) 급증했다.한은이 지난 6월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작년 3월 말 현재 빚 부담이 큰 한계가구가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1072만 가구)의 12.5%인 134만 가구로 추산됐다.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보유한 금융자산보다 많아 금융 순자산이 마이너스 상태이고, 처분 가능한 소득 대비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가구를 의미한다.보고서는 가계부채가 그동안 유동성 제약의 완화,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민간소비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2011∼2014년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패널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비가 늘어난 가구(1만2831가구)가 소비가 줄어든 가구(1만1531가구)보다 많았고 조사 가구의 소비는 연평균 1.3% 늘었다.가계의 최종소비지출 증가율과 가계신용 증가율은 2000년 1분기∼2007년 4분기 +0.87을 기록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 1분기∼올해 2분기에는 +0.49로 떨어졌다.보고서는 최근 소비 부진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 고령자의 은퇴 이후 불안 등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고 분석했다.이어 보고서는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중 분할상환 대출 확대는 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한다.보고서는 “분할상환 확대로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진 일부 가구는 유동성 제약으로 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앞으로 소비가 제약되는 경우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금융당국이 가계부채의 질을 개선하는 취지에서 분할상환을 많이 유도하고 있지만, 가계소비에는 악영향을 줄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