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국채보상운동기록물'·'조선통신사기록물' 3건 등재 확정
'일본군 위안부기록물', 당사자 간 대화 위해 등재 연기
2018-10-31 김종혁 기자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문화재청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조선통신사기록물'이 등재됐다고 31일, 확인했다.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3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는 최종 심사를 통과한 기록유산들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 것을 유네스코(UNESCO, 사무총장 이리나 보코바)에 권고했으며,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권고를 받아들여 등재를 확정했다.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는 유네스코 정보커뮤니케이션섹터의 자문기구로,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관련된 전반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기구이다.이번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확정된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은 조선왕실에서 책봉하거나 존호를 수여할 때 제작한 금·은·옥에 새긴 의례용 도장과 오색 비단에 책임을 다할 것을 훈계하고 깨우쳐주는 글을 쓴 교명, 옥이나 대나무에 책봉 또는 명칭을 수여하는 글을 새긴 옥책과 죽책, 금동판에 책봉하는 내용을 새긴 금책 등이다. 조선조 건국 초부터 근대까지 57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제작·봉헌된 점, 의례용으로 제작되었지만 내용, 작자, 문장의 형식, 글씨체, 재료와 장식물 등에서 당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의 시대적 변천상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그 뛰어난 가치를 인정받았다.또한,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은 국가가 진 빚을 갚기 위해 한국에서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의 전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물로 총 2,470건의 수기기록물, 일본 정부 기록물, 당시 실황을 전한 언론기록물 등으로 구성돼 있다.이 기록물은 19세기 말 제국주의 열강이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에 엄청난 규모의 빚을 지워 지배력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가장 앞선 시기에 자국을 구하기 위해 전 국민의 약 25%가 외채를 갚아 국민으로서 책임을 다하려 한 국민적 기부운동이었다는 점과 이후 중국․멕시코․베트남 등 제국주의 침략을 받은 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국채보상운동이 연이어 일어난 점 등으로 세계적 중요성을 인정받았다.문화재청은 2015년 7~8월에 실시한 대국민 공모를 통해 접수된 기록물들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과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하고, 지난해 5월 유네스코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했다.이와 별도로 민간단체에서 국제공동등재로 '일본군 위안부기록물'과 '조선통신사기록물' 2건을 유네스코에 직접 제출했으나, '일본군 위안부기록물'은 당사자간 대화를 위해 등재가 연기됐다. '조선통신사기록물'은 등재가 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총 3건의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확정됐다.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은 2년에 1회 한 국가별 2건까지 신청할 수 있으나, 국제공동등재의 경우 건수에 제한 없이 등재신청이 가능하다.이번에 등재된 3건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로 한국은 △ 훈민정음(1997), △ 조선왕조실록(1997년), △직지심체요절(2001년), △ 승정원일기(2001년), △ 조선왕조의궤(2007년), △ 해인사 대장경판과 제경판(2007년), △ 동의보감(2009년), △ 일성록(2011년), △ 5ㆍ18 관련 기록물(2011년), △난중일기(2013년), △ 새마을운동기록물(2013년), △ 한국의 유교책판(2015년), △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2015년) 등 기존의 세계기록유산 13건과 함께 총 16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되어 기록문화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