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진의 건강칼럼] 심장을 지키려면 필수! 봄맞이 운동 전 이것만은…
길고 길었던 겨울이 끝나면 새로운 마음으로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증가한다. 건강을 지키기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은 좋지만 심혈관질환자들의 경우 잘못된 운동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로 확인할 수 있는데 2016년도 봄에 해당하는 3~5월에 심혈관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은 87만285명으로, 겨울철인 1~2월의 환자수인 84만 1992명에 비해 약 3만명 정도 많다.
몸 속 혈관만큼 온도에 민감한 곳은 없다. 기온이 1도만 떨어져도 혈압은 민감하게 반응하며 각종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추운 겨울철에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혈관질환이 많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의학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겨울철에는 최대한 조심스럽게 행동한다. 그렇지만 날씨가 조금씩 풀리게 되면 설레는 마음에 활동량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봄철 큰 일교차로 자율신경계 기능의 적응력이 떨어지고, 혈관의 수축과 이완이 잦아지며 혈전이 쉽게 생긴다. 이로 인해 협심증·심근경색증 등의 심혈관질환의 발병률이 오히려 상승하기 때문에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봄철 운동이 독약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심장 돌연사의 80% 이상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힌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관상동맥은 심혈관질환의 선행 질환으로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협심증은 동맥경화·혈전(혈관 내에 생기는 피떡) 때문에 관상동맥 내부가 좁아지며, 심장 근육의 혈류 공급에 장애를 발생시키는 질환이다. 평소 안정된 상태에서는 일상생활에 별다른 지장이 없지만 격렬한 운동,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증상이 발현된다.
또 다른 대표적 질환인 심근경색증은 동맥경화로 좁아진 관상동맥에 동맥경화판의 파열로 인한 혈전이 생기며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차단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장 근육에 30분 이상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 심장 근육이 괴사되며 온전한 기능을 할 수 없다. 심근경색증의 가장 큰 증상은 흉통이다. 가슴 한 가운데를 누르는 듯한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면 심근경색증을 의심해야 한다. 때에 따라 흉통을 호소하기도 이전에 갑작스러운 실신 혹은 심장마비로 응급실에 실려 가는 경우도 있다.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운동을 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인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규칙적인 운동을 해주면 된다.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며 다양한 대사기능 및 심혈관기능의 개선을 유도한다. 또한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봄철 야외 활동을 하는 도중에 가슴을 누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 질 경우 심장 근육에 무리가 간 것이므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고, 본인의 상태에 맞는 적정한 강도로 운동하되 운동 전후로 특이 증상이 나타난다면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금연, 금주, 식단 조절 등의 생활습관을 병행한다면 보다 건강한 심장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