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 퇴비 자원으로 활용가치 높인다”

식물 쓰레기 염분 조절‧청과부산물 퇴비 제조 등… 농경지 안전 활용 기대

2019-09-03     전승완 기자
음식물쓰레기

[매일일보 전승완 기자] 농촌진흥청은 3일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활용할 때 문제되는 염분을 효율적으로 낮추는 공정을 체계화하고 활용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5년 농촌진흥청 소속 국립농업과학원이 전국 300곳의 퇴비 원료인 음식물 쓰레기 염분 농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은 기준 2.0%이하를 만족했으나 일부 지역은 3.0%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음식물 쓰레기 퇴비 원료에 포함된 높은 염분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퇴비 제조 시 첨가할 물의 양을 쉽게 알 수 있는 가수량 산정표를 제시했다.

염분 조절 방법은 우선 음식물쓰레기의 염분을 간이염도계로 측정하고, 가수량 산정표의 물량을 첨가해 탈수하면 최종 퇴비의 염분 기준 2% 이하로 효율적으로 맞출 수 있다.

이와 함께 농산물 유통시장에서 버려지는 청과부산물을 활용해 질소 함량이 높은 퇴비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퇴비는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고 토양물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했는데, 이번 연속 퇴비화 공정으로 질소함량을 높여 양분공급의 역할이 더해졌다.

청과부산물과 톱밥을 7대 3으로 섞어 30일 동안 부숙 시킨 후, 청과부산물을 15일 간격으로 30%씩 추가하면 부숙도가 높아 품질이 안정화되고 질소 농도가 2.8%까지 높아진 퇴비를 만들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음식물 쓰레기 퇴비원료 염분조절방법을 특허출원했으며, 청과부산물 활용 고질소함유 퇴비는 유기농업자재로 등록해 실용화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홍석영 과장은 “음식물 쓰레기가 농경지 환경에서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이 계속돼야 한다”라며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음식물 쓰레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