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계 양극화 심화] 한국지엠·르노삼성 ‘노조 리스크’ 여전… 반등 과제 산적
구조조정 바람… 노사 간 갈등 증폭
전면 파업 돌입 등 대치 국면 불가피
2020-09-08 성희헌 기자
[매일일보 성희헌 기자] 국내 완성차업계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의 반등 과제는 산적한 상황이다. 한국지엠·르노삼성은 판매 부진 등 구조조정 바람이 불고 있는 데다가 노사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어서다.
8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한국지엠 노조는 기본급 인상 등 임금협상 요구안을 사측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결국 전면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는 9일부터 11일까지 전체 조합원이 참여하는 전면파업에 돌입한다. 한국지엠 노조가 부분파업이 아닌 전체 조합원이 참여하는 전면파업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지엠 전신인 대우자동차 시절 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한 적은 있었지만, 2002년 제너럴모터스(GM)가 회사를 인수한 이후에는 전면파업을 하지는 않았다.
이번 파업에는 한국지엠 소속 조합원 8000여명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신설법인 GM테크니컬센터코리아 소속 조합원 2000여명 등 1만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더욱이 한국지엠 창원공장은 근무형태를 2교대에서 1교대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판매 부진으로 창원공장 가동률이 60%를 밑돌고 있어서다.
군산공장 역시 물량 감소에 따라 2교대를 1교대로 전환하는 과정을 거쳐, 작년 2월 폐쇄된 바 있다. 창원공장 비정규직지회는 현행 2교대에서 1교대제로 바뀌면 절반에 달하는 인원이 해고될 상황에 처한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국지엠 노조 관계자는 “사측은 기본급 인상 등 요구를 들어주지 못한다면 최소한 미래 비전을 조합원들에게 밝혀야 한다”며 “그러나 사측은 2022년 이후에도 부평 2공장에 신차물량을 배정하겠다는 계획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르노삼성은 내수 판매 부진과 본사 수출 물량 축소로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한다.
르노삼성은 27일까지 생산직 선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희망퇴직 시에는 퇴직금과 근속연수에 따라 최대 36개월치 위로금이 지급된다.
구조조정의 가장 큰 배경은 생산량 감소다. 르노삼성은 올해 노사분규에 따른 파업 등으로 생산 차질을 빚었다. 특히 닛산으로부터 위탁 받아 생산한 로그의 생산량이 크게 줄었다. 수출용 닛산 로그 위탁생산 물량이 지난해 10만대에서 올해 6만대로 감소한 것이다.
르노삼성은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로그 물량이 빠지면 상당한 영향이 불가피하므로 하반기부터 대비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르노삼성은 생산물량 감소로 시간당 차량 생산량(UPH)을 60대에서 45대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
르노삼성 노조는 이 같은 구조조정에 반대하며 고강도 투쟁을 예고했다. 르노삼성 노조는 “조합원 의사와 관계없는 구조조정이 이뤄지면 연대 세력과 함께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르노삼성 노사는 지난해 임단협 협상을 올해 6월까지 끌면서 파업과 부분 직장폐쇄 등 강경 대치 끝에 극적인 타결을 이룬 바 있다. 노사는 평화 기간을 갖는 상생 선언문까지 채택했다.
하지만 르노삼성 노사는 작업량 감축에 따른 구조조정 이슈가 떠오르면서 다시 대치 국면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