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15%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3년째 증가세
2013-03-05 박동준 기자
[매일일보]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 못하는 한계기업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일부 대기업마저도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있어 관련 대책이 시급한 시점이다.5일 우리금융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상장사 1200개사 가운데 작년 3분기 기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한계기업 비율이 2010년 12.3%, 2011년 13.4%, 지난해 15%로 증가했다.한계기업이란 재무구조가 부실해 영업 활동을 통한 이익으로 금융비용(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말한다. 흔히 한계기업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이자보상배율을 이용하는데 이자보상배율이란 영업이익을 지급이자 비용으로 나눈 수치다.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주로 건설업에 주력하는 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기전자 등 경기민감업종에 주력하는 일부 대기업도 포함된 것으로 집계됐다.지난해 기준 업종 내 전체기업 중 한계기업의 비율이 높은 업종은 도소매 업종(15사, 22%), 건설업(13사, 21%), 전기장비(47사, 18%) 등의 순으로 나왔다.특히 건설업종의 한계기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2009년 3개사에 불과했던 건설업종 한계기업 수는 지난해 13개로 늘어났다.또 다른 특징으로는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무구조가 탄탄할 것으로 생각되는 대기업들 역시 경기 불황을 피해갈 수 없었다.2009년 9개사에 그쳤던 대기업 한계기업 수는 지난해 19개사로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 한계기업 수는 162개사에서 161개사로 1개사 줄었다.아직까지 규모 면에서는 중소기업에 한계기업이 집중되어 있지만 증가율 자체로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앞지르고 있는 것이다.2009년에 비해 지난해 시가총액 상위 5개 종목을 제외한 대기업의 영업이익 증가율은 54%였지만 부채 증가율은 97%로 채무가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대기업 한계기업 급증에 대해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노호영 책임연구원은 "건설업과 IT 등 경기민감 업종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영업이익 증가 대비 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올해에도 지속될 것이란 불안감이다.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해 180개사였던 한계기업이 올해 221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한계기업의 상당수가 자금조달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 역시 불안요소로 작용한다.지난해 한계기업 180개사 중 한국신용평가로부터 신용등급을 부여받은 기업은 42개로 이 중 투자적격등급(BBB- 이상) 미만에 해당하는 기업은 총 30개사에 불과했다.투자부적격 판정을 받은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이나 증자 등 직접금융을 이용하기보다는 간접금융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가능성이 높다.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투기등급의 회사채 발행금액은 지난해 2765억원으로 전년(4천750억원)대비 급감했다.투자적격등급을 받았더라도 업황침체가 장기화 될 것으로 보여지는 건설, 해운‧조선 등 일부 업종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외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실제로 일부 건설사들이 지난해와 올해 초 회사채 발행을 시도했지만 수요예측이 전무인 경우도 발생하는 등 흥행에 참패를 겪기도 했다.전문가들은 향후 한계기업 발생을 막기 위해 잠재적 한계기업의 재무건전성을 체계적으로 감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우리금융경영연구소 이형우 선임연구원은 "부실이 예상되는 기업에 대한 재무건전성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한계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건설, 서비스업 등 특정 산업별로 여신 건전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