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의 득세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번 충전해 달릴 수 있는 일충전거리도 400~500Km 정도가 보편화되기 시작했고 머지않아 배터리 1Kwh 당 가격도 100달러 미만으로 크게 줄어든다고 할 수 있다.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전기차가 주도하는 세대교체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역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출시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는 큰 변화가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글로벌 제작사들의 고민은 과연 미래에도 과거와 같이 제작사가 수퍼 갑이 돼 주도권을 쥐고 미래의 모빌리티를 주도할 것인지라 할 수 있다. 현재의 상황은 전기차 같은 모델의 경우 수직 구조보다는 수평 구조가 가까워지면서 주도권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도 미래의 모빌리티 주도권을 가질 것인지 예상하기 힘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확실한 부분은 전기차와 같은 미래의 모빌리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게임 체인저급 기술의 주도권을 누가 가질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중 하나가 바로 미래의 배터리라고 할 수 있다. 그 만큼 전기차에서 배터리는 전체 가성비와 특성을 책임질 핵심 부품이고 배터리의 개선이 없이는 전기차의 개선도 한계가 크기 때문이다. 몇 년 이내에 생산할 전고체 배터리도 그렇고 다른 배터리 소재를 사용하는 미래 소재도 미래 배터리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현재와 같이 배터리 제작사가 공급하는 배터리를 그냥 재작사가 받아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방법일 것이다. 아무리 전기차를 잘 만들어도 제대로 된 실시간적으로 배터리를 공급받지 못한다면 전기차의 미래는 불확실해지기 때문이다. 배터리 회사와 수평관계가 이어지면서 목소리 내기도 힘들고 경쟁력 제고와 완벽한 수직 구조를 통한 일사불란한 생산은 한계가 있게 마련이라 할 수 있다. 미래의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현재의 구조는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테슬라 배터리 데이에서 앨런 머스크가 언급한 바와 같이 테슬라도 결국 자체적인 독자 배터리를 생산하여 경쟁력 제고를 기하겠다고 선언한 부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당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전기차의 수요에 맞추어 LG화학 등 글로벌 배터리 회사와 연계를 크게 확대한다고 하고 있으나 결국 5년 이내에 자체적인 배터리 공장을 통해 새로운 크기의 원통형 배터리를 자체적으로 공급하겠다고 선언했다. 전기차 제작사가 자체적으로 배터리 공급을 책임지는 사안이 얼마나 중요한 미래를 결정짓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자동차 제작사들은 모두가 배터리 회사 소유를 고민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그 목표는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가 우선적으로 목표를 이룰 것이고 다른 제작사들도 점차 확산될 것이다.
즉 글로벌 자동차 제작사와 배터리 제조회사의 치열한 동침과 한께 머지않아 다시 경쟁하는 관계가 등장할 가능성도 예상된다. 각자가 살기 위해 더욱 치열한 생존경쟁이 예상된다. 그 만큼 미래의 모빌리티는 큰 변화가 일고 있고 이를 주도하기 위한 생존경쟁도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