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펀드 관리창구 일원화해야”
자본시장 연구원 주장
[매일일보 강준호 기자] 새 정부 출범 후 각 부처와 민간기관들이 경쟁적으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펀드조성에 나서는 가운데 이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창구를 일원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3일 연구원과 한국벤처투자가 공동 개최한 정책 세미나에서 "시장신뢰가 두터운 모태펀드가 겅강한 벤처생태계의 조성자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 실현을 국정 과제로 내세우면서 미래창조과학부는 5000억 규모의 '미래창조펀드'를 조성해 모태펀드에 500억원을 출자하고 금융위원회는 이와 별도로 향후 3년간 6조원 규모의 '성장사다리펀드'를 조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KB금융지주, 삼성그룹도 민간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창조경제 관련 펀드를 조성해 벤처생태계를 지원한다.
이성복 연구원은 "부처 간 정책 방향에 대한 충분한 사전 협의와 조정을 거쳐 중복 지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모태펀드가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모태펀드는 벤처투자의 발생·발전의 근거가 되는 토대 또는 마중물이 되는 펀드이며 일반적으로 기업에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개별펀드에 출자, 투자위험을 줄이는 펀드(fund of funds)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2005년 중소기업청 주도로 설립돼 한국벤처투자가 관리하고 있다. 2035년까지 30년간 운용될 예정이다.
이 연구위원은 모태펀드가 2000년대 초반 벤처 붐 이후 위축된 국내 벤처캐피털 시장의 불안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모태펀드가 2005∼2012년 새로 결성된 벤처투자조합의 45.2%에 참여했고 결성 재원의 62.6%를 지원했다"며 "정부 참여가 민간 벤처투자 발전을 저해했다는 일부 비판이 있지만, 오히려 민간 벤처투자를 촉진한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재원을 조성해 한국형 요즈마펀드를 도입하는 것보다 지금의 모태펀드를 강화, 정책 창구를 일원화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