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경제] 뛰는 美 쫓는 中 바라보는 韓…AI패권 경쟁 심화

‘승자독식’ 인공지능…美中패권경쟁, AI서도 치열 국내 AI 기술 개발, 민관협력 나섰으나 갈 길 멀어 강대국과 국내 기술력 차이 1.8년 수준…차이 못 좁혀

2021-06-25     정두용 기자
인간의
[매일일보 정두용 기자]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이 한창이다. 기술 지배력에 따라 ‘승자독식’ 체제가 형성될 것이란 전망 속에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선 기업과 대학이 협력해 초거대 인공지능(AI)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 역시 이를 뒷받침하는 진흥책을 내놓고 있지만 세계 AI 강대국 수준까지 오르기엔 남은 과제가 많은 것으로 평가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LG·네이버·SK텔레콤·KT 등 국내 굵직한 정보통신기술(ICT) 대기업들이 차세대AI 기술 확보에 나섰다. 정부도 차세대 AI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향후 5년간 3018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8월 신청한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이 4월 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 내년부터 추진된다고 밝힌 바 있다. 민관이 협력해 초거대AI 구현에 나섰지만, 미국·중국·유럽(EU) 등 기술 강대국 수준에 오르기엔 갈 길이 멀다. 국내 AI기술은 질과 양면에서 모두 부족하단 평가를 받고 있다. 초거대AI는 추론·창작의 영역까지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현재 AI모델이 분야별 데이터 분석·학습 영역에 그친다면, 초거대AI는 보다 ‘인간의 뇌’와 흡사한 연산이 가능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주도해 설립한 ‘오픈AI’는 이미 지난해 초거대AI 언어모델 ‘GPT-3’를 내놓기도 했다. 초거대AI 구현은 그간 쌓아온 기반 기술에 달려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효율적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이를 처리할 연산 속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 요소이기 때문이다. 데이터 관리 시스템 등 기반 시설도 갖춰줘야 한다. 현재 세계 AI 기술은 미국이 선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그 뒤를 추격하고 있는 양상이다.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이 국가별 AI 역량을 비교한 결과 미국이 44.6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32점, 유럽(EU)은 23.3점을 기록했다. 중국은 다만 △발전기반 △인재 △연구 △하드웨어 △도입 및 채택 △데이터 등 6개의 평가 항목 중 ‘도입·데이터’ 2개 분야에서 미국·EU보다 높은 점수를 올렸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과의 무역 마찰 갈등에서 시작된 대립이 ‘기술 패권 전쟁’으로 더 확산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5G·반도체·양자컴퓨터를 비롯해 AI 분야에서도 패권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는 견해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AI·집적회로 등 미국에 의존하고 있는 기술 분야의 ‘자립’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이 13억 인구를 바탕으로 축적한 막대한 데이터를 머신러닝 등에 활용한다면 AI 기술의 비약적 발전을 이룰 수 있다. 미국이 세계 AI 인재 중 13.9%를 차지하고 있으나, 중국(8.9%)이 그 격차도 줄이는 추세다. 반면 국내 AI기술은 답보상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AI 경쟁력은 미국의 80.9% 수준으로, 1.8년의 기술격차가 수년째 좁혀지지 않고 있다. 중국이 국가 차원의 투자 및 지원정책으로 2016년 71.8% 수준에서 2020년 85.8%까지 기술 수준이 높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특허 확보도 부족한 상황이다. 카이스트(KAIST) 혁신전략 정책연구센터가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출원된 AI 기술 특허는 6317건에 그쳤다. 중국이 9만1236건을 기록하며 세계 특허의 60% 이상을 차지, 1위에 올랐다. 우리나라는 미국(2만4708건), 일본(6754건)에 이어 4위다. 우리나라는 특히 특허의 질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특허인용지수(CPI)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 있는 성과를 올린 특허가 드물다는 의미다. CPI 상위 10%에 드는 특허 비율은 미국이 43%로 1위, 캐나다가 26%로 2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8%에 그쳤다. 연구팀은 양적인 성장보다 기술력 기반의 질적인 성장이 이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논문에서도 선도국가들과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AI 관련 논문 수는 6940건이다. 조사 대상 91개국 가운데 논문 수는 세계 9위에 올랐지만, 편당 인용 건수는 3.8회로 31위에 불과했다. 전경련은 ‘AI 분야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런 국내 AI 개발 현황을 두고 “투자와 특허, 핵심 인재 수 등이 AI 선진국 대비 경쟁력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특히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활용 제약하는 개별법 정비와 핵심 인력을 위한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KISTEP는 “중국은 AI 발전에 우호적인 기술 특성과 시장 규모, 규제적 환경에 힘입어 미국을 추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미국이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서는 국가 AI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