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포 해상풍력은 부산시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의 열쇠”
추진위, 향후 수년이 부산의 탄소중립과 에너지 자립 ‘골든타임’... 해상풍력 적극 추진 주장
[매일일보 조재원 기자] 청사포 해상풍력이 수요지 주변 지역의 풍력을 통해 저탄소 분산형의 청정에너지를 생산, 공급한다는 점에서 부산의 탄소중립과 에너지자립의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부산 소재 해상풍력 전문업체 '지윈드스카이'(공동대표 이용우 최우진)가 추진하고 있는 청사포 해상풍력은 설비용량 40MW 규모로, 준공 이후 가동이 시작되면 연간 약 10만MWh의 청정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이는 해운대구 주민 약 3만5000여 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탄소감축효과도 뛰어나 부산 동백섬의 300배, 서울 여의도의 15배 크기의 부지에 30년생 소나무를 빼곡히 심은 것과 동일하다.
청사포 해상풍력발전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김창재, 이하 추진위)는 27일 “청사포 해상풍력 사업은 분산형 에너지 구축의 핵심에 해당되는 중소규모의 지역 재생에너지 사업으로, 부산시가 에너지 자립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포문을 열어줄 사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추진위가 주장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향후 수년이 부산의 탄소중립 및 에너지자립 ‘골든타임’
부산시는 2018년에 ‘2030 시민참여형 에너지전환’ 로드맵을 확정하며, 부산을 원전 중심의 전력 ‘공급’ 도시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전력 ‘자립’ 도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향후 수년이 골든타임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시민과 함께 실현해가는 클린에너지 도시 부산’을 비전으로 선포하고,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을 2025년까지 8.5%, 2040년에는 40%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부산시는 이와 함께 지난 6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정부 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에 참여해 국내 243개 지방정부와 함께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올해부터는 기후변화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에 특화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발굴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 노력을 강화해갈 예정이다.
하지만, 2018년 기준 부산은 전체 전력소비량의 70%를 원전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2019년 기준 2.49%로 전국 평균인 11.91%를 한참 밑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전력 설비를 확충하지 않으면 세계적인 탈원전 기조와 함께 전력부족도시로 전환될 위험성이 있다. 부산은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 50%를 달성하겠다고 야심차게 발표했으나 실제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에너지 자립도시’... 열쇠는 ‘분산형 에너지’
부산시가 ‘클린에너지 도시 원년’을 선포했던 지난 2017년, 부산발전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시의 정책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에너지 수급 관리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분산형 전원) 구축을 통한 에너지 분권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도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과 2050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산업부는 지난 3월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여 2050 탄소중립 목표치 달성을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분산형 에너지는 수요지 주변 지역에 건설되어 송·배전 운영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송전 손실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자체 전력으로 충당하는 시스템으로 전체 전력 수요 급증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대부분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에너지원을 이용해 발전 분야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도 한몫을 한다.
◇분산형 에너지는 세계적인 에너지 개발 추세
에너지 전환 선도 국가 중 하나인 독일은 2019년 기준 전체 발전량의 30%가량을 분산형 에너지로 공급하고 있다. 독일은 2010년 말 ‘에네르기벤데(Energiewende)’라고 불리는 에너지 전환 계획을 채택하고 화석연료와 원자력 기반의 중앙집중형 에너지 공급 체계를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대체하는 데 합의했다.
독일은 탈석탄법을 마련해 2038년까지 석탄 발전을 완전히 중단할 예정이며, 내년 말까지는 탈원전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지난해 독일의 전력 소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은 46.2%로, 목표치였던 35%를 훌쩍 웃돌았다. 또한 2000년대 도입한 발전차액지원제도(Feed-in Tariff, FIT)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지속적으로 견인하고 있다. 독일 내 재생에너지 협동조합의 개수는 831개, 조합원의 수는 16만 명에 이른다.
일본은 동일본 대지진 이후 에너지 시스템의 대전환을 도모하고 있는 국가다. 일본은 현재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사업자와 전원을 다각화하고 있는데, 이는 중앙집중형 대규모 전원에 의존하는 기존의 경직된 전력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일본의 전력소매시장은 2016년 전면 자유화되었고, 2020년에는 일반전기사업자 송배전 부문의 법적분리가 이루어졌다. 이후 일반전기사업자가 지역독점해온 저압 부문(50kW 미만) 시장에 참가하는 신전력사업자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은 또한 분산형 에너지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2016년부터 규슈와 간사이, 도쿄 전력을 중심으로 ‘가상 발전소(VPP)’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가정, 지자체, 기업 등에 분산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 등의 전력원과 전력관리 시스템을 통합하여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방식이다.
가상 발전소는 지진 등의 재난 상황에서 복원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기상조건이나 시간대에 따라 발전량의 차이가 있는 재생에너지 보급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평가다. 일본은 2018년 발표한 제5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주력 전원화를 선언하고, 2030년까지 발전량 기준 재생에너지 비중을 22~24%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