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척지 땅심에 ‘자생 갈대’ 환원해 지력증진 효과 밝혀

3년간 환원 시, 일반 갈대 자생지와 유기물 함량 격차 1.7배

2022-09-09     전승완 기자
9월~11월
[매일일보 전승완 기자] 농촌진흥청은 간척지에 자생하는 갈대를 토양에 투입하면 유기물 함량이 증가해 땅심돋우기(지력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간척농지는 토양 유기물 함량이 0.2% 내외로, 일반 농경지의 1/10 수준에 불과하다. 토양 유기물은 물과 양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분해되면서 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함량이 낮으면 작물의 생산성이 떨어진다. 농촌진흥청 연구에 따르면 새만금 간척농지에 3년 동안 자생 갈대를 환원했을 때, 환원하지 않은 갈대 자생지보다 토양 유기물 함량이 1.7배 많은 0.81%로 높아졌다.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팀은 지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새만금 간척농지인 계화시험지에서 자생 갈대를 토양에 환원해 유기물 함량 변화를 살펴보는 시험을 진행했다. 자생 갈대를 헥타르(ha)당 약 7톤씩 3년간 투입했을 때, 유기물 함량이 해마다 평균 23%씩 증가해 3년 뒤에는 1kg당 8.1g(0.81%)으로 높아졌다. 이는 갈대를 환원하지 않고 그대로 둔 갈대 자생지의 유기물 함량 4.7g(0.47%)보다 1.7배 많은 수치다. 유기물 함량 증가는 땅심을 돋우는 효과뿐 아니라,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토양에 가두는 효과도 있다. 토양 유기물 함량이 0.1% 증가하면 지표로부터 20cm 안쪽까지의 겉흙을 기준으로 헥타르당 5.5톤의 이산화탄소를 토양에 수용할 수 있어, 탄소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일반 농경지에서는 땅심 유지를 위해 해마다 볏짚, 가축분퇴비 등 유기자원을 투입하지만, 간척농지에서는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적인 문제로 외부 유기자원 사용에 제약이 있다. 습지나 해변 염습지에 자생하는 갈대는 지상부 바이오매스가 헥타르당 약 7톤에 달해 토양 유기물 공급 자원으로 적합하다. 갈대 환원은 특별한 작업 없이 생장이 가장 왕성한 9월 초에서 11월 사이에 트랙터로 땅을 갈면서 진행하면 된다.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팀 이병규 팀장은 “대규모 간척지라는 환경적 제약과 유기자원 구매 및 운반 등의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자생 갈대를 이용한 땅심돋우기는 경제성과 환경 두 가지를 모두 만족하게 할 방법”이라고 말했다. 전북 새만금 간척지에서 밭농사를 짓고 있는 농업인 김줄기 씨는 “척박한 간척농지에서 안정적으로 농업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유기자원 확보가 필수”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