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취업자수 증가 청년·고령층 주도...지속은 어려워”

최근 취업자 수 팬데믹 이전 추세 상회 경제활동인구 등 노동 공급 확대 영향

2023-08-04     이보라 기자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이보라 기자] 청년층·고령층을 중심으로 최근 취업자 수가 크게 증가했으나 장기적으로는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4일 발간한 ‘최근 취업자 수 증가에 대한 평가’(BOK 이슈노트)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회복세를 넘어 팬데믹 이전(2015~2019) 추세를 상회했다. 한은이 최근 취업자 수 증감을 노동 수요와 공급 측면으로 분해한 결과, 최근 취업자 수는 경제활동인구 등 노동 공급이 확대된 영향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취업자 수 증감분 중 노동 공급의 기여도는 약 63.4%로 높았다. 기여도는 1분기 58.5%에서 2분기 69.2%로 더욱 확대됐다. 특히 연령별로 청년층(15∼29세)과 고령층(60세 이상)의 노동 공급이 크게 확대됐다. 청년층은 여성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의 취업자 수 증가분의 67.5%가 여성 취업자 수에 기인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IT산업에서 사무직이 증가했다. 간호사 등 보건복지 전문가와 음식·숙박업 임시직 일자리도 늘었다. 고령층 취업자 수는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생산·현장직(제조·건설업 현장직, 청소·경비직), 농림어업직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한은은 “소규모 사업체 생산·현장직 증가는 고령층에서만 나타났는데, 해당 부문의 노동 수요 증가와 다른 연령대가 중소기업 생산·현장직을 기피하는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상대적으로 일자리 정책의 영향은 줄어들었다. 고령층 취업자 수 증가분 중 공공행정·보건복지 초단기 일자리(주당 15시간 이하) 증가분 비중은 올해 1~2월 19.8%였으나 3~6월 5.9%로 줄었다. 보고서는 “노동 공급과 수요의 동반 확대, 상용직(계약기간 1년 이상) 중심의 취업자 수 증가, 대면서비스업의 점진적 회복 등으로 단기적으로는 취업자 수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가 생산 대비 다소 가파르고, 일시적 대면 소비 증가에 따른 음(-)의 기저효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 경기둔화 가능성 등으로 현재의 높은 취업자수 증가세가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