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플랫폼 사회'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플랫폼이 인간의 삶을 장악하고 주도하고 있다. 플랫폼에서 장도 보고 배달음식을 시키며 쇼핑도 하고 책을 읽거나 영화감상도 한다. 회의도 하고 강의도 하며 항공권을 구입하거나 여행지 숙소를 찾기도 한다.
플랫폼은 사회문화적, 경제적 영역 뿐 아니라 정치부문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야당의 당대표 후보는 당원들의 여론을 수렴하고 당원들에게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는 소통구조로 온라인 플랫폼을 제시했다.
데이터 자본주의 시대로의 접어들면서 미디어 플랫폼이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간의 삶은 플랫폼이 주도하는 지능정보사회로 급속히 편입되고 있다.
개인과 공동체의 다양한 실천과 상호작용이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고 매개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을 통해 플랫폼은 막대한 힘을 행사하는 사회문화적 권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플랫폼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은 크게 양분된다. 지배적 견해는 낙관적이고 공리주의적이다. 플랫폼 사회는 기술혁신의 노력이 결실을 본 이상적 사회로 이전 사회에서 해결되지 못한 다양한 문제들을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진보적이고 발전된 사회라는 것이다.
반면 비판론자들은 낙관론자들이 플랫폼의 기술적 유용성과 경제적 가치에 매몰되어 플랫폼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의 충돌, 규범이나 윤리, 공적 가치 등에 무관심하다고 말한다. 이들은 플랫폼의 일상화된 데이터 수집과 상업적 활용에 주목하면서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사회가 감시와 차별을 조장하고, 사회적 다양성과 민주적 가치를 파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플랫폼 사회는 기술 인프라와 경제적 상호작용의 공간인 플랫폼을 보다 거시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플랫폼의 데이터 수집과 활용은 데이터 감시, 프라이버시 침해, 데이터 독점, 데이터화된 주체, 집단 극화와 사회적 다양성의 약화라는 사회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맹목적 관심을 경계하며, 이용자의 관점에서 비판적이고 총체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저자 문상현은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를,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방송문화연구> 편집장과 한국언론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