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금리인상·다중채무·PF ‘3중고’
역마진 더해 신용대출·PF 부실 우려…수익성·건전성 모두 악화
2022-10-19 홍석경 기자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저축은행 업계가 금리 인상과 다중채무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잇따른 예금 금리 상승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운데, 경기침체에 따라 주요 여신사업에 대한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건전성과 수익성 모두 악화할 것이란 우려다.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연 14.72%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연 14.90%와 비교해 차이가 크지 않다. 반면 1~2%대에 그쳤던 예금 금리는 현재 4% 이상 크게 오른 상황이다. 이날 웰컴저축은행과 오케이저축은행의 경우 정기예금 금리를 더 올려 5% 이상 제공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역마진’ 위험에 노출해 있다. 저축은행은 예금을 유치해 대출 재원을 마련하는데, 대출 이자가 그대로인 상황에서 고객에게 돌려주는 예금 이자만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7월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연 24%에서 연 20%로 떨어지면서 역마진 우려는 더 커진 상황이다.
비용 부담 상승뿐만 아니다. 저축은행을 둘러싼 영업환경은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부동산 경기침체 우려가 현실화 조짐을 보이면서 저축은행이 내준 PF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규모는 이미 1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 2016년 3조4000억원→2017년 4조2000억원→2018년 5조2000억원→2019년 6조3000억원→2020년 6조9000억원→2021년 9조5000억원→2022년 6월 10조8000억원 등 매년 조 단위 수준으로 불어났다. 연체잔액만 3300억원에 달한다.
부동산PF 대출은 미준공된 자산에 대한 대출로, 사업 미진행시 실물 담보확보가 어려운 만큼 부실이 발생할 경우 자금회수가 어렵다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지금처럼 기준금리가 높아지고 자산가격 하락이 동반되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금융사들의 대규모 손실도 불가피하다.
2금융권 특성상 여러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 비율 높다는 점 역시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업권 전체 대출자 가운데 다중채무자 비율은 67.5%였다. 이 비율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8년 64.9%에서 2020년 65.2%로 소폭 올랐다가 지난해 1년 만에 2.3%포인트 뛰었다. 다중채무자가 보유한 대출금도 저축은행 전체 대출잔액의 75.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