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모바일 뱅킹도 ‘양극화’
절반 훌쩍 넘는 64% ‘모바일 뱅킹’ 없어
2024-01-17 홍석경 기자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저축은행 업계 전체에서 절반이 훌쩍 넘는 64%의 금융회사는 ‘모바일 뱅킹’을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모바일 뱅킹은 현재 대형사나 일부 자금 여력이 있거나,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만 운영하고 있다. 이를 앞세워 대형사들이 자산 성장의 동력으로 삼고 있지만, 중소형사의 경우 운영 예산·비용, 규제 등 문제로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17일 저축은행 업계 따르면 이날 기준 저축은행 79개사 중 모바일 뱅킹을 운영하는 회사는 29개사로 전체 약 36% 수준에 그친다. 나머지 저축은행 50개사의 경우 인터넷 홈페이지나 텔레마케팅(TM), 대출플랫폼, 오프라인 지점 등 영업 채널에 의존하고 있다.
모바일 뱅킹을 운영하는 저축은행은 대부분 자산 규모가 크거나 금융지주 계열의 대형 저축은행이다.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이 사이다뱅킹을 운영하고 있고,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웰컴디지털뱅크), OSB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 IBK저축은행(i뱅크), KB저축은행(키위뱅크), 애큐온저축은행, 고려저축은행(고뱅크), 모아저축은행, NH저축은행(NH FIC뱅크), 신한저축은행, HB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디지털페퍼), 상상인저축은행 등도 모바일 디지털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시중은행과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 등 전 금융권 통틀어 디지털 혁신이 핵심 경영 전략으로 부상했지만, 중소형 저축은행에는 먼 나라 얘기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략에 따른 자산 격차는 더욱 심화했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보면 상위 20개사의 자산 규모는 지난 2019년 말 약 50조원에서 작년 9월 말 기준 99조원으로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반면 나머지 59개사의 자산 규모는 같은 기간 26조원에서 37조원으로 고작 11조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중소형 저축은행이 디지털 뱅킹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배경은 역시 비용 부담이 가장 크다. 회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자산 1조원 이상 저축은행의 한해 IT 예산은 유지·보수 비용 등을 합해 약 1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작년 초부터 3분기까지 벌어들인 영업이익이 100억원을 넘는 곳은 전체 79개사 중 35개사(44%)로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최소한의 비용도 충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저축은행 영업구역을 제한하는 규제 역시 양극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현재 저축은행은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라 △서울 △인천·경기 △부산·울산·경남 △대전·충남·충북·세종 △대구·경북·강원 △광주·전남·전북·제주 등 6개 영업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이중 서울과 인천·경기 등 수도권 저축은행은 50%, 나머지 권역 저축은행은 40% 이상을 영업권역 내에서만 대출을 해줘야 한다. 그러나 지역 경기가 악화하고 인구가 줄어들면서 지방 소재 저축은행들은 점점 더 이 비율을 지키기 버겁다고 호소하는 처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