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리오프닝 본격화 물가상승 압력 키워”
한은 “미·중 무역갈등에 韓 실질 GDP 0.3%↓ 가능”
2023-02-08 김경렬 기자
[매일일보 김경렬 기자]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종료와 경제 활동 재개가 물가 상승 압력을 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전일 발표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와 시사점’ 이슈노트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중장기적으로는 경제학·지정학적 분절화가 한국경제 리스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단기적 관점에서 리오프닝이 본격화하면 글로벌 경기를 진작할 수 있지만, 공급망 차질 완화라는 하방 요인과 원자재 수요 확대라는 상방 요인이 함께 작용해 물가 상승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공급망 정상화는 물가를 내리는 요인이고, 원자재 수요의 증가는 물가를 올리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1일 김웅 한국은행 조사국장은 “최근 (경제적‧지적학적) 분절화는 경제뿐 아니라 외교·안보 요인이 맞물린 만큼 민관이 협력해 공동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전한 바 있다.
물론 중국 경제가 재개되고 공급망이 열리면 우리 기업의 수출은 는다. 중국 여행객이 증가하면 경상수지도 회복된다. 하지만 한은 측은 올해 중국의 성장률이 지난해에 비해 ‘기술적 반등’일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공급망 차질 정도가 과거에 비해 작았던 만큼 추가적인 완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특히 한은은 미중 갈등과 지정학적 긴장 등에 따라 물가에 중기적 관점의 리스크가 있을 것으로 봤다. 한국의 경우 핵심품목 교역과 원자재 수입이 미국과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되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최대 0.3%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예상치도 나온다. 상황을 감안해 리스크 헤지에 적극 나서야 하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미·중 갈등, 지정학적 긴장으로 경제적 분절화가 심화하면 한국은 공급망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본다. 2017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로 중국과 한국의 교역이 멈췄을 때 중국 수출이 급감했던 점을 고려하면 미중 갈등으로 인한 우리 수출과 국내 총생산 역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치도 나온다. 우리나라 핵심 수출 교역이 미중과 이뤄지고 있는 탓도 있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반도체는 중국 비중이 55%, 자동차는 미국 비중이 40%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