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못갚는 가계·기업...금융건전성 위기 확산

국내銀 부실채권 2년 9개월 만에 상승 3개월 이상 연체 규모도 '10조원' 달해 금융지원 종료에 가려졌던 부실 수면위

2024-03-22     이광표 기자
국내은행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되오르고 있다.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종료기에 접어들면서 잠재돼 있던 부실리스크가 수면 위로 부상하는 중이다. 은행 부실채권은 고정이하 여신을 말하는데 금융기관의 대출금 중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것을 뜻한다. 

선행지표 격인 연체율이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오르고 있어 부실채권 비율은 앞으로도 상승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은 부실채권 비율이 급등하며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이번 통계에 잡히지 않은 저축은행의 지표까지 합치면 부실규모는 한계 수준에 이를 거란 전망이다.  22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40%로 전분기말(0.38%) 대비 0.02%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부실채권비율은 지난해 3분기까지 하락세를 유지하며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2020년 3월 이후 처음 상승했다. 전체 부실채권 규모는 10조1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4000억원 증가(4.5% 상승)한 반면 총여신은 감소(-8조7000원)한 것이 원인이었다. 그중에서도 기업여신이 8조3000억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82.3%를 차지했다. 대기업 여신(0.01%포인트 감소)을 제외한 모든 부문의 부실채권 비율이 올랐다. 특히 중소기업과 가계신용대출이 각각 0.04%포인트, 0.03%포인트 오르는 등 상승폭이 컸다. 지난 3년간 만기연장·상환유예 등 정부 지원에 힘입어 부실채권 비율이 낮아졌으나 ‘코로나 착시’가 끝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실채권 비율의 절대 수치는 코로나 사태 전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낮다. 문제는 신규로 발생하는 부실채권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부실채권 신규발생 규모를 분기별로 보면 1분기 1조8000억원, 2분기 2조3000억원 3분기 2조5000억원 4분기 3조원 등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부실채권 비율은 앞으로도 오를 가능성이 크다.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서다.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연체한 비율로, 연체 기간이 3개월로 늘어나면 부실채권으로 분류된다.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올해 1월 말 0.31%로 전월 말 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들이 분기 말 연체채권을 상각하는 효과가 반영된 수치지만 개인사업자와 가계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은 크게 오르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행은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켜졌다. 지난해 말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역대 최고치인 0.53%를 기록했다. 사업 초기인 만큼 대출 자산을 늘리는 과정에서 예견된 일이었으나 상승 속도가 가파르다.  한편 이번 부실채권 현황은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집계됐다. 4분기 통계가 잡히지 않은 저축은행의 부실규모가 더 큰 문제다.  작년 3분기 말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전체 저축은행의 고정이하 부실여신액은 4조1463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200억원 넘게 늘었다. 부동산 PF 시장이 경색되자 채권이 부도로 이어져 회수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는 부실채권이 늘어난 것이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저축은행 업권의 대출 연체액은 2016년 6월 이후 약 6년 만에 3조원을 넘었고,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4%로 2021년 말과 비교해 1.2%p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그간 지속 감소해온 부실채권 잔액이 증가세로 전환됐고, 작년 하반기중 연체율도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향후 기업과 가계 취약 부문의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자금공급 기능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도록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