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장 연말 줄줄이 임기 만료…연임 최대변수 ‘금융사고’
상태바
시중은행장 연말 줄줄이 임기 만료…연임 최대변수 ‘금융사고’
  • 이광표 기자
  • 승인 2024.10.10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적은 좋은데...횡령·부당대출 등 내부통제 실패 부각
김병환 "금융의 본질은 신뢰"...경영진 책임론 불가피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지난 8월 20일 열린 은행장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지난 8월 20일 열린 은행장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행장의 임기 만료가 다가오면서 이들의 연임 여부에 금융권 안팎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주요 행장들이 대부분 임기 동안 호실적을 달성하는 등 성과를 보였지만 금융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내부통제 실패가 연임을 발목잡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올해부터는 지주사와 은행의 최고경영자(CEO)는 임기 만료일 3개월 전부터 경영 승계 절차를 개시해야 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5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는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를 열고 승계 작업에 착수했다. 

이재근 국민은행장은 연말에 임기가 만료되고,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도 연말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들의 연임 여부가 이르면 11월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우선 행장들 대부분 실적으로 보여준 성과는 뚜렷하다. 5대 시중은행이 올해 상반기 역대 최고 수준인 8조2505억 원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하지만 실적과 별개로 내부통제는 결과적으로 실패했다는 평가가 많다. 실제로 금융당국이 반복적으로 은행에 책임경영과 내부통제를 강조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5년간 국내 5대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배임 등 금융사고 금액이 220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5대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는 135건에 이른다. 임직원 횡령이 7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기(34건), 업무상배임(16건), 도난·피탈(9건), 유용(4건) 순이었다. 전체 피해금액은 2286억 원이었다.

은행별로는 KB국민과 하나가 각각 32건으로 가장 많았고 농협(25건), 우리(24건), 신한(22건)이 뒤를 이었다. 피해금액으로 보면 우리(1045억 원)가 가장 많았으며, 국민(666억 원), 농협(366억 원), 하나(144억 원), 신한(66억 원) 순이었다. 피해금액이 가장 큰 사건은 우리은행 기업개선부 직원이 인수·합병(M&A) 관련 계약금 예치 계좌에서 626억 원을 횡령한 건이다.

무엇보다 조병규 우리은행장의 거취 문제가 최대 관심사다. 우리은행에서는 올해 들어 100억 원대 횡령 사고에 이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우리은행 부당대출 사태와 관련해 “법률적 제재든 비법률적 제재든 최근의 매니지먼트(경영진) 책임이 있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 역시 “우리금융 경영진도 금융사고와 관련해 깊은 책임감을 느낄 것”이라며 “경영진 거취는 이사회와 주주총회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이사들이 조 행장의 연임이나 교체도 면밀히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임기가 2026년 3월까지인 만큼 이사회에서 당장 그의 거취 문제는 논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에 대한 사전검사에 착수한 금감원은 다음 달 7일부터 11월 하순까지 본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장 검사가 종료되더라도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통상 수개월이 소요된다. 부당대출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도 현재 우리은행 전현직 직원 등을 조사 중이다.

NH농협은행도 연이어 금융사고 발생했다. 올해에만 10건의 금융사고가 있었으며 수시공시가 이뤄진 금융사고도 4건이다. 이 중엔 3월 109억원 규모의 부당대출 사고가 적발했으며 5월에는 51억원, 10억원 규모의 업무상 배임 등이 드러났다. 8월에도 117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잇따른 금융사고에 이석용 은행장은 국정감사 증인 목록에 포함됐다.

물론 농협은행의 경우, 은행장의 연임이 일반적이지 않다. 올해 3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취임했으며 이석준 농협금융지주 회장의 임기가 올해 말 마무리된다는 점도 은행장 인사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한편, 국민은행은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를 기초로 한 주가연계증권(ELS)의 판매 손실 규모가 가장 컸지만, 자율배상 등이 이뤄지면서 이슈가 마무리됐다. 단, 올해 100억원 이상의 대형 배임사고가 3건 발생한 바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상대적으로 올해 발생한 대규모 금융사고가 없어 내부통제 관련 부담이 적은 편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