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신청서 제출
상태바
문화재청,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신청서 제출
  • 김종혁 기자
  • 승인 2024.04.01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 21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2026.12.예정)에서 등재여부 최종 결정

매일일보 = 김종혁 기자  |  문화재청은 지난 3월 31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Hanji and related cultural practices in the Republic of Korea)을 등재하기 위한 신청서를 유네스코 본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은 유네스코 사무국의 검토와 평가기구(Evaluation Body)의 심사를 거쳐, 2026년 12월 경 개최되는 제 21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등재여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전통한지 건조장면=문화재청 제공

한지는 닥나무 껍질의 섬유를 재료로 하여 장인의 정교한 손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전통 종이로,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삶 속에서 세대를 거쳐 전해져 왔다.

닥나무 채취에서 제조 과정에 이르기까지 장인의 기술과 지식 그리고 마을 주민들의 품앗이가 더해져 제작돼 우리나라의 공동체 문화를 잘 보여준다. 한지는 기록을 위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 건축부재, 각종 생활용품, 예술 활동에 이르기까지 지속가능한 무형유산의 전승 사례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국가무형유산 한지장 김삼식=문화재청 제공
국가무형유산 한지장 김삼식=문화재청 제공

현재 한지 제작 및 활용 관련 공동체는  국가무형유산 한지장 홍춘수(전북 임실), 김삼식(경북 문경), 신현세(경남 의령), 안치용(충북 괴산)과  도지정무형유산 김일수(전북 임실), 이상옥(경남 함양), 장성우(경기 가평), 장응렬(강원 원주) 등의 전승자들과  한지살리기재단(이사장 이배용) 등 한지 관련 보존 및 활용 단체들로 구성돼 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한지 장인 및 관련 단체 등과 협력해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