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하반기 경기회복세 지속…업종별 편차 커"
상태바
한경협 "하반기 경기회복세 지속…업종별 편차 커"
  • 최은서 기자
  • 승인 2024.06.20 15: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조선 '맑음'·건설 '흐림'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앞줄 왼쪽 세번째)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20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4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앞줄 왼쪽 세번째)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20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4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매일일보 = 최은서 기자  |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0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2024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동력의 약화로 올해 경제성장률은 전년의 초저성장(1.4%)에도 불구, 2% 초중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업 경쟁력 강화와 성장동력 확보로 저성장을 탈피하고, 중성장 국가로 도약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글로벌 경제 전망'에 대한 주제 발표를 맡은 최상엽 연세대학교 교수는 "2024년 세계 GDP 성장률 전망치는 3.4%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플레이션은 안정화될 것으로 보이나, 지정학적 분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 대선 등의 요인으로 언제든지 다시 상승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정책금리는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 인하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자산 시장의 지속된 랠리, 미국의 GDP 대비 부채 상승세주2)를 고려할 때 중·장기 중립 금리의 향방은 확신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 교수는 "이미 시장에 정책금리 인하에 대한 강한 기대가 반영되어 있어 실제 인하가 이뤄져도 자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경제 전망'에 대한 주제 발표를 맡은 이승석 한경협 한국경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2024년 경제성장률은 2.4%가 될 것"이라며 "반도체 수출 증가가 성장률 회복의 핵심 요인이 되겠으나, 민간 소비는 미약한 회복세를 보여 우리 경제의 추가 상승 여력을 제한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향후 성장률은 민간 부채 연체율 급증, 중국경제의 더딘 회복, 국지적 분쟁 확대 등으로 2.4%보다 낮아질 수 있어 긴장의 끈을 풀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주요 산업별로 살펴보면 반도체 및 전자전기·조선 산업은 호조,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석유화학 및 석유제품·이차전지 산업은 혼조, 건설 산업은 부진이 전망된다.
 
먼저 한경협은 올해 하반기 수출은 수요 확대와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19.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주력 제품인 메모리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과 SSD(고체 상태 드라이브)의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면서 반도체(26.3%), 디스플레이(3.4%), 정보통신기기(12.5%)는 전부 하반기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조선업계도 올해 하반기 한국 조선업계는 10여 년 만에 호실적을 보일 전망이다. 원자재인 후판 가격 인상으로 신조선가도 상승함에 따라 고가 수주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질적이었던 인력 부족 문제가 외국인 노동자 투입으로 해소되기 시작한 점도 업황 전망의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최근 미국 해군의 MRO(유지·보수·정비) 초과수요가 나타나면서, 한국 조선업계에 긍정적인 시그널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한경협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은 공급망 불안정, 세일즈 방식 전환(소규모·온라인), 첨단기술과의 융합(커넥티드카·자율주행), 전기차 전환 등으로 시장의 변동 요인이 산재해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봤다. 범세계적인 차량 탈탄소화 규제의 확산에 따라 저탄소·무탄소 차량의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확대 추세에 있지만, 2030년에도 일본·중동, 아프리카·남미 등은 전기차 전환 속도가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UAM(도심항공교통·선박 등은 다양한 수요 발생으로 시장의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 폭은 다소 조정될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 한국의 이차전지 시장 점유율은 23.1%로, 큰 내수 시장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점유율(66.8%)에 상당히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 및 석유제품 중장기적으로 호조세를 보이겠지만 올해 하반기에는 초과공급으로 부진했던 업황의 완만한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석유화학은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 성과가 향후 업종실적 회복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석유제품에서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CDU(원유 증류 장치)와 윤활기유 공정주10) 증설이 완료될 예정

건설업은 올해 하반기에 극적으로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누적된 고금리·고물가의 여파로 전반적인 건설경기가 침체하면서 개별 사업의 수익성은 악화하고 있어서다. 다만 해외 건설 수주는 주요 업체를 중심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