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연성주 기자]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현대자동차 앨라바마 공장에서 일하고 있는 존 홀은 "우리는 전쟁에서 함께 싸웠다"며 "한국산 자동차가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하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참석한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기에 충분했다.
이날 공청회에는 미국 현지공장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참석해 자동차 관세 부과의 부당성을 성토했다. 9개국 정부와 글로벌 자동차 협회, 단체는 관세 부과에 일제히 반대했다. 이같은 반대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9월 관세부과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 제조업의 총아인 자동차 산업이 '사면초가'에 몰리고 있다.
국내 완성차의 수출과 내수 부진이 2년 연속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에서는 관세폭탄이 예고되다. 여기에 노조는 7년 연속 파업을 벌였다. 정치권은 최저임금 인상분을 대기업에 떠안기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올 상반기 국내 자동차 생산은 지난해보다 7.3% 감소한 200만4744대를 기록했다. 특히 4월이후 3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자동차 판매 부진은 협력사들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올들어 현대·기아차 1,2차 협력업체들이 만기어음을 막지 못해 줄도산을 하고 있다. 1차 협력업체의 절반이 1분기 적자를 기록했을 정도라고 한다.
자동차 산업은 미국발 무역전쟁까지 겹치면서 더 큰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자동차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 자동차에 관세 25%가 부과되면 수출길은 막히게 된다.
현대차 노조는 이같은 위기애 아랑곳없이 파업에 열중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20일 밤 극적으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올해는 다행히 두차례 부분파업에 그쳐 회사의 손실이 적었다.
올해 잠정합의안이 비교적 빠르게 도출된 것은 미국의 관세폭탄, 글로벌 판매 실적 부진, 정부의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동안 현대차 노조는 근로조건과는 전혀 상관없는 것으로 생떼를 쓰곤 했다. 지난 1987년 현대차 노조의 파업으로 입은 손실액은 무려 20조원에 달하고 있다.
정치권은 한술 더 뜨고 있다.
최저임금이 2년 연속 두자릿수 인상되면서 중소기업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정부와 여당은 책임을 대기업에 떠넘기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최저임금 인상의 부담을 본사 대기업과 나누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중소 하청업체의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부담을 대기업도 나누게 할 것"이라고 거들었다.
자동차 산업은 전후방 파급효과가 크고, 다양한 최신 기술을 접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업의 꽃으로 여겨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총아로 꼽히고 있는 제품도 전기차, 자율주행차이다. 자동차산업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지역경제와 국가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할 핵심산업이다. 제조업 일자리의 11.8%, 수출의 13.8%를 차지한다. 대표적인 양질의 일자리다.
정부는 더 늦기전에 자동차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라도 세워야 한다. 자동차업계에는 악재만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 기업 혼자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다. 이런 때일수록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정부가 업계의 목소리를 경청해서 문제를 풀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래야 우리 자동차 산업이 다시 세계무대에서 우뚝 설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