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리오프닝 한국경제 효과 글쎄? IT가 발목”
상태바
“中 리오프닝 한국경제 효과 글쎄? IT가 발목”
  • 박효길 기자
  • 승인 2023.04.27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中 ‘주택가격’과 ‘광공업·서비스업 생산’ 상승 전환...‘소비심리’ 회복에 소비도 증가세
중국 수출비중의 33%인 반도체가 걸림돌... 메모리價 바닥권, IT재고도 증가 추세
반도체 D램 가격추이(단위: DDR4 8G 달러/개).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반도체 D램 가격추이(단위: DDR4 8G 달러/개).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매일일보 = 박효길 기자  |  중국 리오프닝의 효과를 좌우하는 일부 요인들이 회복세로 전환됐지만 대(對)중 수출비중이 가장 큰 IT 수요가 살아나지 않아 한국경제 파급효과는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발표한 ‘중국 리오프닝 효과의 주요요인 분석과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리오프닝으로 한국경제가 긍정적 효과를 얻으려면 △16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부동산시장’ 회복 △지난해 하락세를 보인 ‘산업생산’의 본격 재가동 △코로나 봉쇄조치와 소득감 등으로 침체됐던 ‘소비심리’의 개선 △대중국 수출의 33.4%를 차지하는 반도체 등 ‘IT부문 수요’ 회복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4가지 요인의 최근 동향을 분석해보니 부동산시장과 산업활동동향, 소비지표는 저점을 찍고 반등 추세이나, 반도체 가격과 IT제품 재고는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라며 “IT 수요가 살아나지 않으면 한국경제의 리오프닝 효과는 약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우리나라 1분기 수출은 반도체를 포함한 중간재가 전년 동기 대비 19.5%, 對중국 수출도 29.6%의 큰 하락폭을 보였다. 

보고서는 중국의 신규주택가격이 지난해 11월부터 반등하여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16개월째 이어진 주택가격 하락세가 작년 11월부터 상승세로 전환했으며, 올해 2월과 3월에는 각각 0.3%, 0.44%의 가격 상승을 기록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부동산 및 관련 업종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달해 부동산의 자산가치가 상승해 소비, 투자 등 실물지표가 개선될 경우 리오프닝 효과가 빠르게 가시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보고서는 리오프닝 후 경제활동 정상화, 공장 재가동 등에 힘입어 3월 광공업 및 서비스업 생산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광공업 생산은 리오프닝이 개시된 지난해 12월부터 반등해 올 3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은 소비회복에 힘입어 9.2% 급상승했다. 

경기동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1월 50.1로 기준치 50을 넘어선 이후 2월 52.6, 3월 51.9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긍정적 경기전망이 우세했다. 

소비지표들도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던 소매판매실적이 올 1분기에는 5.8% 성장세로 돌아섰다.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신뢰지수도 2월에 94.7를 기록하며 지난해 12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와 봉쇄조치로 인한 소비활동의 제약, 소득감소, 고용불안에 따른 보험적 저축성향 확산으로 위축됐던 소비심리가 리오프닝 이후 대면활동이 증가하면서 되살아나는 모습이다. 

중국 리오프닝의 효과를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은 IT제품 수요 부진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도체가 들어가는 IT제품의 수요가 줄면서 관련제품 재고가 쌓이고, 반도체 가격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D램 가격의 경우, 2021년 정점을 찍은 이후 4월 현재 개당 1.6달러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 내 IT산업의 재고 현황도 2019년말 대비 60%이상 증가한 수준으로 여전히 과거추세를 상회하고 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반도체 수출이 살아나지 않으면 중국 리오프닝의 효과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중국 부동산시장과 내수소비가 살아나 중국내 IT 재고가 소진되고 신규 수요가 발생하길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국 리오프닝이 한국경제에 미칠 효과가 불투명한 가운데, 보고서는 중국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파급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소비회복 시차에 맞춘 제품별 수출전략 △권역별 대중국 마케팅 전략 △고위기술 중간재 중심의 공급망 확보 △문화·실버 등 서비스시장 진출 △美·中 대립을 중국과의 기술격차 확보의 기회로 활용하는 등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동하 부산외대 교수는 “리오프닝에 따른 중국내 내수시장 효과가 상반기 중에 외식업과 화장품, 의류, 엔터테인먼트 등의 분야에서 먼저 일어나고, 가구, 대형가전, 인테리어 등은 부동산 경기 회복에 따라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업종별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31개 성(省)별로 차등화될 성장폭을 주목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고, 중국이 범용 중간재의 자국산 비중을 높임으로써 중국의 수입구조가 고위기술 중간재 중심으로 옮겨가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신흥경제부장은 “중국의 인구고령화에 맞춰 문화, 실버 및 의료 등 다양한 서비스산업과 정부주도 경기부양으로 확대될 정부조달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다는 점에 주목해야 하고,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는 중국시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중국과의 기술우위 확보 기회로 삼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담당업무 : 게임, 인터넷, IT서비스 등
좌우명 : 꼰대가 되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