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결집에 대응한 북중러 밀착 움직임···긴장 고조
전문가 "신냉전 단초 아닌 심화···때 되면 中 움직일 것"
매일일보 = 이태훈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만남이 성사됐다. 미국을 필두로 한 서방의 제재에 서로의 필요성을 느낀 결과다. 북러 밀착에 중국까지 본격 가세할 경우, 동북아에서 한미일과 북중러 대결 구도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9년 4월 이후 약 4년5개월만의 재회다.
두 정상을 급히 만나게 한 배경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의 강력한 제재가 있었다.
지속된 군사 도발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은 극심한 식량난과 기술 낙후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후 유럽연합 등으로부터 고강도 경제 제재를 당하고 있으며, 현재는 꽤 긴 시간 '무기 고갈설'에 휩싸여 있다.
현 국제 판도에서 두 나라는 서로의 필요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파트너로 간주된다. 실제로 이번 정상회담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사용할 재래식 무기를, 북한은 군사 정찰위성 발사 성공을 위한 첨단 우주 기술을 상대로부터 받는 것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국가는 안보리 활동에서 공조할 뜻도 피력했다. 여태 러시아는 북한의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보유에 반대하며 유엔 대북 제재에 동참해 왔지만, 우크라이나에서의 전황이 악화하면서 우선순위가 바뀌었다는 해석이다.
북러의 밀착이 어느 때보다 강려해진 가운데, 중국이 여기에 본격 가세한다면 강력한 신냉전 기류가 동북아에 드리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너무나 명확한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형성되는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12일 개최된 동방경제포럼(EEF)에 중국 대표단장으로 참석한 장궈칭 부총리와의 회담에서 "러시아와 중국 관계가 최근 몇 년 동안 전혀 유례없는 역사적 수준에 도달했다"며 중국에 대한 애정을 과시했다.
아울러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같은 날 푸틴 대통령과 시 주석이 올해 중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가 주축이 되어 북한과 중국을 끌어들이는 모습인데, 이를 통해 한미일 결집에 대응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알렉산드르 만수로프 조지타운대 교수는 5일 워싱턴타임스재단 주최 세미나에서 북중러가 한미일 협력 확대에 대항하는 차원에서 3자 군사협력을 개시할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은 이번 북러 회담에 대해 평을 아끼며 상황을 주시하는 모습이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북한이 러시아와 강하게 연결되는 것을 꺼려하는 입장이다. 중국이 스스로 북러와 엮일 경우 중국이 추구하는 글로벌 전략에 차질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실제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러 정상회담에 대한 논평 요청에 "북한 지도자의 러시아 방문은 북러 사이의 일"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북한은 산과 물이 서로 이어진 우호적인 이웃으로 현재 중북 관계는 양호하게 발전하고 있다"며 "우리 양국은 최고지도자들이 달성한 공동 인식을 이행하며 영역별로 교류·협력을 심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러 정상회담이 가져올 동북아 신냉전 기류 형성에 대해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매일일보> 통화에서 "이번 회담은 동북아 신냉전의 '단초'가 아니라 '심화'로 볼 수 있다"며 "동북아에서는 냉전이 사라져 본 적이 없다. 신냉전 강화의 단초는 이미 캠프 데이비드에서 이뤄진 한미일 군사협력에서 제공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의 북중러 체제 참여에 대해서도 "현재는 중국이 (당장 급할 게 없으니) 뒷짐 지고 쳐다보는 형국"이라면서도 "사실 북중러 관계는 어느 정도 밀착된 상태다. 중국도 국가 이익과 관련된 시급성이나 중요성이 나타난다면 분명히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