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최재원 기자 | 미혼인구가 현재 추세대로 계속 늘어나면 미래 노동 공급에 큰 차질을 일으킬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8일 한국은행 조사국이 발표한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여년 간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미혼 비중은 3.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핵심연령층(30~54세) 내 미혼인구 비중은 2000년 7.4%에서 2020년 24.6%로 17.2%포인트나 증가했다.
생애미혼율(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 비중)은 지난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거의 3배가량 높아졌다.
이 같은 미혼 인구 비중 증가는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에서 모두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남성의 경우 미혼 인구가 늘면 고용률이 떨어지고 실업률은 높아진다. 평균 근로 시간도 줄어 노동공급 총량이 감소한다. 반대로 여성은 오히려 미혼 증가가 경제활동 참가와 평균 근로 시간을 늘려 노동공급 총량이 증가한다.
성별에 따라 미혼 비중 확대의 영향이 다르지만, 과거 10년 사이에는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 효과가 더 컸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미혼 증가는 결국 출산율을 낮추는 만큼 미래 노동 공급에 확실히 타격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은이 혼인·출산율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노동공급 장기 추세를 추정한 결과, 30년 후 미혼 비중이 남성 60%, 여성 50% 수준에 이를 경우 우리나라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31년(79.7%) 정점을 찍고 이후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30년 후 미혼 비중이 작은 시나리오(남성 50%·여성 40%)나 미혼 비중 증가세를 고려하지 않은 시나리오에서 추산된 정점 시기(2035년)보다 4년이나 이르다. 분석에서 정점 이후 하락 속도도 미혼 비중이 커질수록 빨라졌다.
한은은 “만혼·비혼 등 결혼 행태 변화에 따른 미혼 인구 증가는 현재와 미래의 노동공급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인구 미혼화 완화(혼인·출산율 제고)·적응(미혼자 고려 노동 환경) 정책이 모두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