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소외계층 위한 복지재단 운영
상태바
강남구, 소외계층 위한 복지재단 운영
  • 유원상 기자
  • 승인 2014.03.05 1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유원상 기자] 최근 세모녀 자살 사건 등이 발생하면서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강남구가 ‘1인1기부계좌 갖기 운동’ 과 구청 직원들의 매월 ‘자투리 봉급 기부’ 등 독특한 기금조성 프로그램을 마련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

강남구는 ‘1인1기부계좌 갖기 운동’, 압구정로데역에 설치된 ‘G+스타존’을 활용한 상시 기부사업 추진, 구청 직원들의 매월 ‘자투리 봉급 기부’ 등 독특한 기금조성 프로그램을 개발, 저소득주민 지원을 위한 연중 모금활동을 펼치는 등 기부문화 조성 등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세모녀의 비극적인 소식이 전해지며 1인 당 국민소득 2만4000달러가 넘는 나라에서 벌어진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기초생활수급자는 아니지만 긴급지원이 필요한 주민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높다.

이런 가운데 강남구의 발 빠른 대응이 눈길을 끈다.

구는 국민기초 생활수급자가 서울시 자치구중 8번째로 많은데다 영구 임대아파트단지도 끼고 있어 빈부 격차가 심하고 복지수요도 많다.

구는 우선 ‘1인1기부계좌 갖기 운동’, 압구정로데역에 설치된 ‘G+스타존’을 활용한 상시 기부사업 추진, 구청 직원들의 매월 ‘자투리 봉급 기부’ 등 독특한 기금조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저소득주민 지원을 위한 연중 모금활동을 펼치는 등 기부문화 조성 등에 주력하고 있다.

구는 지난 해 ‘희망온돌 따뜻한겨울보내기’ 사업 시 서울시 자치구 중 최고액인 41억2000만원의 성금품이 모금됐고 이 중 13억원 상당의 성금을 지역 저소득 주민 등에게 지원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구는 올해부터 행복한 강남공동체 형성을 위해 동 주민센터 단위의 '강남 더하기 행복지원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우리이웃은 우리동네에서 해결’한다는 목표 아래 법적복지 급여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가정 즉, 복지사각지대 위기가정을 가장 먼저 발굴하고 그들의 복지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민·관 협력체계다.

복지담당 공무원과 행복지원단 위원들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못하는 취약계층을 기다리는 대신 직접 찾아 가 문제해결을 돕고 지원방안을 마련해 준다.

또 구는 오는 5월 비영리 재단법인인 '강남복지재단'을 출범시키로 했다.

공공복지에서 드러난 재원 한계를 극복하고 지방자치단체·지역주민·기업체 등 지역사회 구성원이 복지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기 위해 '강남복지재단'을 발족시키기로 했다.

재단은 국가나 지자체만이 주도하는 복지사업에서 벗어나 법정지원대상 외 복지사각지대 저소득 주민을 대상으로 △저소득 위기가정의 자활능력 향상을 위한 사업 △중증질환가구의 의료·주거·생계비 지원사업 △저소득가구의 지속적인 지원체계 확보를 위한 1:1결연사업 △빈곤대물림 차단을 위한 장학사업 등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을 빈틈없이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구는 지난해부터 지역 내 저소득 주민에게 맞춤형복지 순회교육, '행복한 권리누리기'를 지자체 최초로 실시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 동안 정부의 일방적인 지원을 소위 주는 대로 받아왔던 저소득층에게 구가 직접 나서 이들에게 주어진 권리와 의무 및 각종 지원제도 등을 꼼꼼히 알려 주어 올바른 이해를 돕자는 취지인데 지난해 보건복지부 ‘복지급여 적정급여 중앙현장조사’에서 지자체 우수 수범사례로 뽑히기도 했었다.

특히 올 행복한 권리누리기 순회교육은 새해 달라지는 사회복지사업과 제도악용 방지, 국민기초 생활보장 제도의 올바른 이해와 의료급여 및 자활지원제도 등 각종 복지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강남구 생활보장팀장, 보건지도팀장, 고용지원센터팀장 등 실무 팀장 3인이 직접 강사로 나선다.

신연희 구청장은 “강남구의 경우 올해도 예산총액 5374억원 중 41%를 사회복지 예산으로 운영할 예정이고 향후 정부의 복지사업까지 감안하면 복지예산은 47%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복지 체감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게 사실”이라면서 “이제 복지사업은 국가나 지자체만이 주도하는 사업에서 탈피해 지역 구성원과 함께 고민하고 실행해 나가는 것만이 공공복지에서 드러난 재원의 한계를 극복하는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