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최재원 기자 | 최근까지 우리나라 물가 상승분의 약 10% 정도는 고온 등 이상기후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한국은행 전북본부 기획조사팀 정원석 과장과 이솔빈 조사역, 금융안정국 글로벌금융규제팀 조은정 조사역이 작성한 ‘이상기후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23년 우리나라 이상기후지수(CRI)와 산업생산, 소비자물가상승률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이상기후가 성장(산업생산)은 늦추고 물가는 더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됐다.
CRI는 5가지 요인(이상고온·이상저온·강수량·가뭄·해수면높이)을 바탕으로 기준기간보다 얼마나 이상기후 정도가 심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이번 연구에서 이상기후 충격은 발생 시점으로부터 약 12개월 뒤 산업생산 증가율을 0.6%포인트(p) 깎아내렸다. 반대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충격 후 약 3개월 만에 0.03%p 더 높아졌다. 물가 품목별로는 식료품‧과일‧채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자유무역협정(FAT) 체결국과의 교역 비중 등을 활용해 수입을 통한 대체 효과를 배제하면, 이상기후에 따른 인플레이션 추가 상승 폭은 0.08%p(0.03+0.05%p)까지 커졌다.
아울러 1980∼2000년 시기보다 최근(2001~2023년) 들어 이상기후가 성장·물가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속성이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23년 이후 월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이상기후가 평균 약 10%를 차지했다.
지역별로 CRI 특징(2001∼2023년)을 나눠보면 이상고온은 강원·충북·제주, 강수량 증가는 경남·전남·부산·제주, 가뭄 심화는 전북·충북·강원 등에서 뚜렷했다.
보고서는 2000년 초반 맺은 FTA 등을 통한 수입증대에 따른 농축수산물 관련 대체효과가 커짐에 따라 이상기후 변화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정원석 한은 전북본부 기획조사팀 과장은 “2010년 이후 이상기후 현상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며 “이상기후는 농림어업, 건설업 등 산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