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수출부진에 내수침체가 겹치면서 기업과 소비자가 모두 한 목소리로 최악의 체감경기를 호소하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한국 등 세계 40개국에서의 체감경기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 응답자 중 경제 상황이 나쁘다고 답한 사람이 83%였다. 경제 상황이 좋다고 답한 사람은 16%에 불과했다. 한국인의 비관론 비율은 가나(73%) 등 7개 아프리카 국가는 물론 팔레스타인 자치지역(67%)보다 높았다.
이 같은 ‘비관론’은 개별 경제주체들이 느끼는 실질적인 체감경기가 악화되면서 불거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기업들의 경우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 엔저 등으로 인한 수출감소와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인한 내수 위축, 외국인 관광객 급감 등으로 유래 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를 보면 제조업의 6월 업황 BSI는 66으로 집계돼 5월(73)보다 7포인트 떨어지면서 두 달째 하락세를 보였다. 7월 업황 전망BSI도 67로 조사돼 5월에 조사했던 6월 전망치(76)보다 9포인트나 하락했다.
BSI는 기업이 느끼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치인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기업별로 보면 대기업의 업황BSI는 5월 78에서 6월 73으로 5포인트 떨어졌고 중소기업 업황BSI는 57로 조사돼 5월보다 8포인트 내렸다. 비제조업의 7월 업황 전망BSI도 6월보다 12포인트 내린 66에 그쳐 전망도 비관적이었다.
자영업자들의 체감경기도 바닥을 치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6월 현재경기판단 소비자동향지수(CSI)는 64로 2년 반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6개월 전보다 현재 경기가 더 나쁘다고 느끼는 자영업자들이 많다는 뜻이다.
상황이 어렵다보니 대출도 늘었다. 한국은행의 올 1분기 은행권 중소기업 대출 중 개인사업자 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조9000억원 증가했다. 증가세 역시 가파르다. 지난해 3분기 개인사업자 대출은 13조1000억원, 4분기 14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일반 소비자들의 체감경기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진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최악의 상태에서는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대비 1포인트 오른 100을 기록했다.
그러나 실제로 CCSI를 구성하는 6개 주요 지수 중 2가지 현재 경기 평가 지수는 내림세를 이어갔고, 현재생활형편 소비자동향지수(CSI)는 전월대비 1포인트, 현재경기판단 CSI는 2포인트 떨어지는 등 체감경기는 여전히 회복세와는 거리가 먼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체감경기가 악화일로를 이어나가면서 우리 국민들의 경제적 행복감 역시 바닥을 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세 이상 성인남녀 810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행복지수’는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경제행복 예측지수’는 2007년 하반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하반기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는 ‘경제행복 예측지수’는 2007년 12월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경기회복을 ‘체감한다’는 응답은 5.9%에 불과했다. 경기회복을 체감하지 못하는 원인은 ‘일자리 불안’(42.2%)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가계빚 증가’(29.2%)와 ‘소득 감소’(22.5%)도 주된 원인으로 꼽혔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은 “소득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고용의 안정성 제고, 노후불안 해소를 위한 지속적 노력이 요구된다”며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대책을 제시하고 재정정책의 집행을 통해 경기 회복세를 확실히 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등의 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