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부채·금리 인상·주택 과잉·정부 규제·정국 혼란
[매일일보 김태혁 기자] 대부분의 부동산 전문가들은 올해 부동산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가계 부채와 금리 인상 가능성, 주택 공급 과잉, 정부 규제 강화, 정국 혼란 등 ‘부동산 악재’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하나하나 꼼꼼히 따져 보자.가계부채와 금리 인상 가능성은 가장 시급한 문제다.만약 대한민국 금리가 인상되면 부동산 시장은 직격탄을 맞는다.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중 절반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이 중 변동금리 비중이 60%에 이른다. 금리가 오르면 주택수요가 줄어 거래가 위축되고 집값이 떨어져 시장이 가라앉는다. 더 나아가 빚을 갚지 못하는 가구가 늘면 가계와 금융권 부실로 이어져 한국 경제가 위태로워지는 악순환이 초래된다.특히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국내 금리가 곧바로 인상되지는 않더라도 점진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있고 금리 저점이 깨지면서 부동산 심리는 영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주택 공급 과잉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올해부터 2년간 78만여 가구에 달하는 입주 물량이 쏟아진다. 올해는 37만여 가구, 2018년 41만여 가구다. 내년만도 역대 최대치인 1999년 36만9541가구를 넘어선다. 입주 물량이 적었던 2012년 17만9031가구와 비교하면 배가 넘는다.주택이 과잉 공급하면 집값은 자연스럽게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수도권보다 지방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집값이 하락하면 전세 값도 떨어지고 지역에 따라 역전세난이 발생할 수 있다.이러한 조짐은 진작부터 나타나 지난해부터 부동산 경기는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전세가격도 상승 폭이 둔화하는 모양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