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타결'을 기점으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당 복귀론을 제기하자 여당이 술렁이고 있다.
여당에서는 4.30 재보궐 참패 이후 끊임없이 제기됐던 '대선주자 조기복귀'가 정 장관의 '복귀입장'으로 또다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동영 장관은 지난 18일 SBS에 출연 "상황이 어렵다고 회피할 생각이 없다"며 "당이 필요로 한다면 언제든지 작은 역할이나마 보탤 각오가 돼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의 측근은 20일 <폴리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도 "정 장관의 정계복귀가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예상보다 (정 장관의 정계복귀) 시기가 훨씬 빨라 질 수도 있을 것이다. 조만간 어떠한 조치가 취해질 것이다"며 이번 주중에 어떠한 결정이 내려질 것임을 암시했다.
정동영 장관의 조기복귀는 여권내 대연정으로 인한 민심이반이 심각하고 10.26 재보궐에서 조차 완패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팽배한 가운데 거론된 것이어서 더욱 더 주목을 받고 있다.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도 이미 연말이나 연초 정계복귀 가능성을 거론한 상태여서 대선주자들의 정계복귀가 예상보다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여권내 '킹'급들이 당에 복귀하게 되면 대연정 제안으로 인해 노대통령에게 빼앗긴 당의 주도권이 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당내에서는 연정제안 초기부터 '당이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었다.
조기복귀 과연 당장 될까? 글쎄...
현재 대연정으로 인한 당의 분열현상, 신중식 의원의 탈당 등으로 인해 당이 혼란스럽기 때문에 이를 바라보는 시각도 다양하다.
대부분 대선주자들의 조기복귀 가능성에는 큰 이견은 없어 보이지만, 조기복귀 시점은 '당장은 어렵지 않겠냐'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정동영 장관의 경우에는 6자회담이 형식적으로 타결되기는 했으나 북핵 문제가 아직도 갈길이 멀고 또한 재선거 출마 등과 같은 계기가 없는 이상 당장 당에 복귀하겠냐는 주장과 대선주자 조기복귀로 인해 당이 대선주자 세대결의 장으로 변질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때문이다.
그러나 10월 재보궐에서 또다시 문희상 체제가 '완패'할 경우 지도부 책임론과 함께 당내 조기 복귀 목소리도 더욱 더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에는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한 조기복귀가 당장 현실화 될 경우 대선주자들의 복귀로 당의 중심축이 확보되고 정국 주도권도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이들이 복귀한다고 해서 '뾰족한 수가 있겠나'라는 회의적인 목소리도 대조를 이룬다.
'안개모' 간사 한 의원측에서는 "정계복귀한다고 당이 이렇게 어려운데 뾰족한 수가 있겠나"라며 "지금 당 분위기는 대통령만 바라보고 있다"고 전했다.
정동영계 핵심 측근은 "6자회담도 완전히 마무리 안됐고 당에 복귀를 한다고 하더라도 재보궐에 출마했다거나 무슨 요인이 있어야 들어오지 지금 당장 복귀 하겠나. (조기 복귀)는 좀 그렇다"며 "또 대선주자가 당의 중심이 되면 파생되는 문제점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어쨌든 대통령이 2선으로 물러나고 당이 중심이 되게 해야지 이대로는 안된다"며 "이번 재보궐에서 또다시 패한다면 문희상 책임론이 제기되고 그것을 기점을 정계복귀 요구 목소리가 거론될 수는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김근태계 핵심관계자는 "당의 중심 역할을 할 사람이 필요하다는 면에서 정계복귀의 공감대는 이미 형성이 됐고 그 시점은 연초 정도가 될 것 같다"며 "정동영 장관이 연내에 복귀하면 자연스럽게 김 장관도 당에 돌아오지 않겠냐"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의 최대 계파인 국참연(국민참여연대)과 참정연(참여정치실천연대)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관망하는 분위기다.
정동영 장관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국참연은 "2년 반이나 남은 상황에서 그런 움직임을 가시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대선주자들의 조기복귀로 오는 부정적인 모습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된다면 나쁘지는 않다"고 밝혔다.
참정연 권태홍 사무처장은 "구체화 되지 않은 상황에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을 아꼈다.
김희원 기자 (폴리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