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곳곳 마이너스 성장…한국경제에 ‘부정적’
상태바
세계곳곳 마이너스 성장…한국경제에 ‘부정적’
  • 배나은 기자
  • 승인 2015.09.14 08: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주요 국가 신용등급 강등 사례 속출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중국발 경기 둔화로 원자재 가격이 추락하고, 글로벌 교역마저 감소하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가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는 우려섞인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14일 국제금융시장과 블룸버그 통계 등에 따르면 지난 1분기와 2분기에 마이너스 성장률(전년동기대비)을 나타낸 국가는 브라질과 캐나다, 일본, 러시아 등 6개국이다. 일본을 제외한 세 국가는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해 경기침체기에 진입했다.

신흥국이 모인 중남미의 1, 2분기 성장률은 각각 -0.1%와 -1.1%로 2분기 연속 0%를 밑돌았다. 동유럽은 2분기에 -0.5%, 유럽 및 중동·아프리카 지역(EMEA)은 -0.2%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이들 대륙은 지난 1년 동안 모두 플러스 성장률을 유지했으나 올들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중국은 지난해 기준으로 세계 교역에서 14.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나라의 경제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올해 상반기 주요 67개국 기준 세계 교역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주요 67개국의 교역액은 전 세계 교역의 90%를 차지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교역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9% 줄어 6년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와 무디스 등은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

지난 3월에 피치는 올해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2% 포인트 낮춘 2.7%로 제시했다. 무디스는 8월말 에 주요 20개국(G20) 성장률 전망치를 3.1%에서 2.8%로 내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가 저성장기에 진입했다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3.5%에서 3.3%로 하향 조정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경기선행지수(CLI)에서도 성장 모멘텀의 둔화가 두드러진다.

이 때문에 올해 또는 내년에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세계 경기침체는 통상 세계 GDP 성장률 기준으로 2%를 밑도는 것을 의미한다.

성장률 둔화는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진다.

세계 경제가 침체에 다가가면서 이미 올해 들어 세계 주요 국가의 신용등급 강등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국제금융계에서는 중국 성장 둔화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등급 강등이 잇따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 때 주목받던 브릭스 국가 가운데 브라질과 러시아 2개국이 투기등급으로 추락했다.

이들은 양국에 대한 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국제금융계에서는 올해 브라질과 러시아의 신용등급이 더 하락할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재정 건전화에 대한 의지가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일본의 국가 신용등급은 지난 4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에 의해 A+에서 A로 한 단계 떨어졌다.

우크라이나는 3개 주요 신용기관에 의해 디폴트(채무불이행) 직전 수준으로 강등됐다. 우크라이나는 지난달 해외 채권단과 채무재조정에 합의해서 일단 급한 불은 껐다.

저유가 충격으로 경제가 거의 파탄 난 베네수엘라도 올해 1∼2월에 신용등급이 대거 강등돼서 우크라이나와 비슷한 수준이다.

가나, 앙골라, 모잠비크, 가봉, 콩고, 잠비아 등 아프리카의 자원 수출국들도 신용등급이 강등됐다.

JP모건은 나이지리아가 재무장관직을 수개월째 공석으로 두고 자본 통제를 강화하는 점 등을 들어 지난 10일 신흥시장 지수에서 제외했다.

카자흐스탄과 바레인, 에콰도르, 오스트리아 등도 신용등급이 하락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