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인들이 유러피언 드림을 허물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은 아직은 '바람'에 가깝다. 유럽의 화약고 그리스 디폴트 해법의 논의는 무성하지만 갈 길이 멀다. G2국가인 미국 버냉키 연준 의장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보다 수위가 더 높은 경기 부양책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중수 호(號)는 '성장의 하방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했다.
한국은행은 13일 오전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9월 기준 금리를 현 수준인 3.25%로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작년 11월부터 격월로 0.25%씩 오다가, 올해 6월 0.25% 인상을 마지막으로 넉 달째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
한은은 이날 기준 금리 동결의 배경으로 '성장의 하방리스크'가 커진 점을 꼽았다. 이날 발표한 최근 '국내외 경제동향'에서 "앞으로도 우리 경제는 장기 추세치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겠으나 유럽국가채무, 미국 등 주요국의 국가 채무문제 확산의 개연성 등으로 성장의 하방리스크가 우세하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김중수 호의 10월 기준 금리 동결은 일부 금통위원들의 강경 발언에서도 일찌감치 점쳐져 왔다. 세계경제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한은의 금리인상 실기로 서민들이 고물가에 다 죽는다'는 여론의 압박에 떼밀려 기준 금리를 인상할 수는 없으며, 이는 국운을 걸고 도박을 하는 격이라는 게 일부 금통 위원들의 뿌리 깊은 정서였다.
한은이 기준 금리를 동결한 이면에는 '유럽재정안정기금(EFSF)확충 논의를 신호탄으로 점차 탄력을 받고 있는 국제사회의 '공조 움직임도 빼놓을 수 없다. 국제사회의 대응의지를 관망(wait and see)해보며 우리가 쓸수 있는 카드를 저울질해보자는 의지도 한몫한 것으로 읽힌다. 지난 2008년 리먼발 글로벌 금융위기로 식어가는 글로벌 경제에 정책공조의 군불을 지펴온 국제사회는 이번에도 머리를 맞대며 대응 수위를 점차 높여가고 있다.
김중수 한은 총재가 '정보의 안테나'를 길게 드리울 이번 국제 공조의 무대는 이번 주말 프랑스 파리에서 개막하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금융시장 불안과 세계 경제의 하방리스크 대응방안, 그리고 성장기반 강화를 위한 중기 대응방안을 담은 '깐느 액션 플랜'이 경제사령탑들이 집중 논의할 대상이다.
올들어 고공비행을 거듭해 오던 소비자 물가상승세가 한풀 꺾인 것도 금리동결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지난 8월 올 들어 처음으로 5%대(5.3%) 상승률을 기록한 소비자 물가는 9월 들어 4.3%가 오르며 일단 상승세는 주춤했다. 한은의 연간 물가 전망치를 감안해 볼 때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채소값이 큰폭으로하락한 것이 위안거리다.
한은은 "9월중 기상여건이 개선되고, 추석 이후 수요개선으로 농축수산물가격이 채소, 과실류를 중심으로 안정을 회복했다"고 진단했다.
생산자 물가상승률도 9월 들어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유럽투자자들의 엑소더스로 고삐풀린 말처럼 치솟던 원달러 환율도 이달 들어 뚜렷이 안정세를 되찾고 있는 점도 금리동결의 배경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고삐 풀린 가계부채 증가세가 금융감독당국의 창구감독의 강화로 9월 들어 주춤하며 전달에 비해 1조9000억원 가량 급감한 것도 동결의 배경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