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글로벌 시장에 전기차의 흐름이 더욱 거세지고 있는 형국이다. 제작사별 가격 경쟁력이 커지면서 미국 시장에서 올해 후반에는 내연기관차와 동일한 수준의 가격을 갖춘 전기차가 예상되고 있을 정도이다. 그만큼 글로벌 시장은 탄소제로 정책 등 환경적인 부담을 줄이는 정책을 가속화하면서 중요한 대상인 자동차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시기다. 이제 전기차 같은 무공해차는 선택이 아닌 절대적인 필수요소가 된 것이다.
국내 시장도 글로벌 시장 중 선도적인 전기차 국가다. 작년 말 누적 전기차 대수는 약 40만대에 이르고 보급된 충전기도 거의 20만기에 이른다. 물론 공공용 급속충전기가 전체 중 약 1만7000여기에 불과하여 내후년부터 완속충전기 보조금은 없애고 급속만 보조금을 주며, 앞으로 초고속충전기는 최대 1억원까지 줄 정도로 정부도 박차를 가하고 있을 정도다.
국내 시장은 앞서와 같이 선진 시장으로 탈바꿈하고 있고 글로벌 시장 중 빠른 친환경차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2550만대 중 약 200만대 수준의 친환경차만 있을 정도로 내연기관차 점유율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더욱이 노후화된 생계형 디젤 트럭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하루속히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서 개선해야 한다. 이러한 와중에 가장 오염원 배출이 크고 개선해야 하는 분야가 바로 디젤차다.
10여년 전 정부는 유럽산 디젤차를 중심으로 '클린 디젤차'라는 홍보문구를 내세운 유럽산 디젤차가 국내에 유입되면서 친환경차의 한 종류로 선택돼 국내 시장에 활성화된 기종이 바로 디젤 승용차다. 즉 유럽 내에서의 디젤차 보급과 더불어 다른 지역의 선진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된 지역이 바로 대한민국이다. 그동안 국내 시장에 누적된 디젤차는 상당하다. 전체 중 약 40% 수준까지 다다르고 있다. 새로운 디젤차는 결국 노후화되면서 가장 환경적으로 나쁜 영향을 주는 차종으로 전락했다. 결국 디젤차는 신차라 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국내 제작사는 이미 약 3년 전 디젤 세단 제작을 포기하고 남은 디젤 SUV도 생산을 줄이는 등 빠르게 디젤차 퇴출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바로 유럽을 중심으로 수입되고 있는 디젤 차량이라는 것이다. 정작 디젤 승용차 천국이었던 유럽에서의 디젤차는 크게 줄어들고 생산도 중단하고 있으나 유독 유리나라에는 자국 지역에는 판매하지 않는 디젤 승용차를 우리 시장에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도 다양한 유럽산 제작사들의 디젤 승용차가 다양하게 국내 시장에 나오고 있고 가격도 낮추면서 밀어내기식의 판매를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가격적 메리트 등 가성비만 좋으면 사는 국내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또한 국내 시장에도 먹히고 있는 것이다.
아예 정부가 조금 이르게 디젤차에 대한 판매 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어떨까? 물론 오는 2035년 정도면 아예 국내 시장에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한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지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으나 당장 문제가 큰 디젤차에 대한 규제를 차종별로 하나하나 확인해 세부적으로 판매중지 정책을 고민하는 것은 어떨까? 소비자들도 이제는 디젤승용차에 대한 신차를 구입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결국 환경은 보이지 않지만 우리 후세에게 빠르게 다가오는 '암같은 존재'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