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와 공공요금 상승 지속해 경기침체 부담 ‘여전’
매일일보 = 홍석경 기자 | 최근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둔화했지만, 유가와 공공요금 상승세는 지속하고 있어 경기침체 부담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대 초반까지 떨어지는 등 한은의 전망대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점차 줄어드는 데다, 1∼2월 연속 경상수지 적자를 비롯해 갈수록 경기 하강 신호가 뚜렷해지는 만큼 한은이 다시 기준금리 추가 인상 카드를 꺼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한은의 금리 동결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5월 추가 인상에 나서면, 금리 격차는 1.75%포인트(p) 이상으로 벌어지고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박이 커진다는 점은 한은의 고민거리로 남아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110.56)는 작년 같은 달보다 4.2% 올랐다. 상승률이 2월(4.8%)보다 0.6%p 떨어졌고, 작년 3월(4.1%)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3월 상승률이 이창용 총재와 한은의 전망보다 오히려 더 낮고 경로에서도 벗어나지 않은 만큼, 무리하게 기준금리를 더 올려 경기 위축을 부추기기보다는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물가·환율·경기 등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통계청이 지난 4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를 보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가 4.8% 상승했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4.2%보다 0.6%포인트 높았다.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높은 것은 2021년 1월 이후 2년여만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하고 있으나 물가의 기조적 흐름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다른 각도로 보면 석유류 가격이 전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다. 여기에 주요 산유국의 추가 감산 조치에 급등한 국제 유가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그간 각국 중앙은행이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를 주로 참고해왔으나, 유가 상승이 소비자물가지수에 새로운 압력으로 작용하고, 높은 물가 상승률이 가계의 기대심리에 영향을 미치면 통화 긴축이 계속될 수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담당업무 : 보험·카드·저축은행·캐피탈 등 2금융권과 P2P 시장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