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번째 검찰 소환 앞두며 '사법 리스크' 현재 진행형
비명계 '자진 사퇴' 요구 일축…"지지 더 강화돼"
매일일보 = 문장원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로 취임 1년을 맞는다. 1년 전 전당대회에서 77.77%의 압도적 득표로 대선 패배 5개월 만에 당권을 거머쥔 이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유능하고 강한 정당, 국민 속에서 혁신하는 민주당, 통합된 민주당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 그 무엇 하나 뚜렷한 성과가 없다는 평가다. 오히려 본인의 '사법 리스크'와 이로 인한 '계파 갈등'으로 당이 '내우외환'의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임기 2년의 반환점을 도는 이 대표는 당 대표 수락 연설문에서 약속한 '혁신'과 '통합' 가운데 가시적인 결과물을 아직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래경 혁신위원장 낙마 사태 등을 거치며 우여곡절 끝에 출범한 김은경 혁신위가 '불체포 특권 포기'와 '대의원제 무력화', '권리당원 권한 강화' 등의 혁신안을 내놓았지만, 수용 여부를 두고 계파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취임 전후부터 끊임없이 이 대표의 발목을 잡아 온 '사법 리스크'도 진행형이다. 이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과의 영수 회담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제안하는 등 민생 행보에 방점을 찍을 때마다 '사법 리스크'가 이를 덮어버리는 형국이 반복돼 왔다.
이 대표는 올해만 4차례 검찰 소환 조사를 받았고, '쌍방울 대북 송금 의혹'으로 5번째 소환을 앞두고 있다. 지난 2월에는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이 부결되는 과정에서 이탈표가 최소 31표 나오면서 리더십에 큰 타격을 받기도 했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내년 총선에 가까워질수록 패배 위기감으로 바뀌면서 당내 친이재명계(친명계)와 비이재명계(비명계)의 갈등을 더욱 증폭시켰다. 비명계는 이 대표가 당 대표직에 머물러 있는 한 '방탄 정당' '내로남불'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이유로 줄곧 대표직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10월 조기 사퇴설' '연말 비대위설'이 꾸준히 나오는 이유도 이 대표의 리더십이 그만큼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을 방증한다. 심지어 비명계를 중심으로 이 대표가 사퇴하지 않을 경우 당이 쪼개질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나온다. 비명계 이상민 의원이 지난 25일 라디오에서 "이 대표가 물러나야 비대위를 하든 뭐를 하든 하는데 안 물러나겠다고 한다"며 "이재명 대표가 물러나지 않으면 거취를 결정할 의원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국정 난맥상이 민주당 지지율로 반영되지 못하는 원인도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 때문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 1년 동안 30%대 초·중반에서 제자리걸음이다. 한국갤럽 여론조사 기준으로 이 대표 취임 직후인 지난해 9월 1주 차 34%를 시작으로 올해 8월 4주 차 32%로 답보 상태다(자세한 여론조사 결과는 한국갤럽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
문제는 이 대표 입장에서 현 상황을 타개할 만한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불체포 특권 포기'를 승부수로 던진 것 말고는 다른 카드가 사실상 없다. 9월 정기국회 회기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이 높아 체포동의안 표결을 피할 수 없다. 이럴 경우 체포동의안 표결을 두고 계파 갈등이 다시 폭발할 수 있고, 사퇴 요구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다만 이 대표는 자진 사퇴론에 선을 그으며 대표직을 유지할 뜻을 분명히 밝혔다. 이 대표는 지난 25일 TJB 대전방송과의 인터뷰에서 '10월 사퇴 후 비대위가 구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는 질문에 "전망이 아니라 기대일 것 같다"며 "제가 78%라고 하는 역사에 없는 압도적 지지로 당 대표가 됐고 지금도 그 지지는 유지되는 정도를 넘어 더 강화되고 있다"며 사퇴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우리 지지자들과 당원들이 실망하거나 흩어지지 않게 해 투표하게 하고 그걸 통해 내년 총선을 어떻게든지 반드시 이기는 게 제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