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이재형 기자 | 은행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이 오는 7월 정상화되면서 은행채가 지난달 순발행으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순발행은 채권 발행 규모가 상환 규모보다 많은 상태다. 은행들이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해 은행채를 발행했다는 의미다.
13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4월 은행채 순발행액은 10조4996억원을 기록했다.
△1월(-4조9070억원) △2월(-4조2042억원) △3월(-1조1603억원) 등으로 지난 1분기 발행액보다 상환액이 많았던 것과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발행액 규모도 크게 늘었다.
지난달 은행채 발행액은 21조7200억원으로 1월 7조7400억원, 2월 11조4200억원, 3월 10조2800억원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증권가는 은행채 발행 규모가 증가한데 대해 LCR 규제 정상화 영향으로 은행의 선제적인 자금 수요가 발생한 영향으로 해석한다.
LCR은 고(高)유동성 자산을 향후 30일간의 순현금 유출액으로 나눈 수치로,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해 이를 100%에서 85%까지 낮췄다가 이후 단계적으로 올리고 있다.
현재는 95%로, 금융위원회는 7월 단계적 정상화를 재개할 방침이다.
정연홍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은행들은 작년 말 기준 이미 (LCR) 100%를 초과 달성했지만, 과거 경험상 규제 비율 대비 충분한 버퍼(초과분)를 확보하려 하기 때문에 조달 니즈가 발생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최근 들어 대출 증가세가 가팔라진 반면 예금 잔액이 크게 줄면서 은행들이 자금 수요가 커진 것도 한몫했다.
실제 5대 시중은행의 4월 기업 대출 잔액이 전월 대비 10조9000억원 늘었다고 미래에셋증권은 집계했다.
가계 대출도 지난 2월 출시된 신생아 특례 대출 영향으로 증가했다. 신생아 특례 대출은 출시 이후 3개월간 5조2000억원의 대출이 나간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예금 잔액은 줄어 전월 대비 33조원 감소했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가계 대출 증가의 대부분은 주택 담보 대출이 차지했는데, 그 중에서도 신생아 특례 대출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증권가는 은행채가 순발행으로 추세 전환을 한 것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정 연구원은 “규제 정상화로 인한 충격은 일시적”이라며 “은행채 발행을 통해 확보한 현금으로 국채를 매수해 보유하면 LCR 비율이 일시에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규제 정상화로 인한 추가 발행 수요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시중은행의 대출 증가세는 눈여겨 볼만한 부분이지만, 아직은 추세 변화라고 보기에는 이르다”며 “대출 성장세가 2020년 11.5%를 정점으로 2023년 4.6%로 하향 안정화 추세에 놓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