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조선시대 해시계 '앙부일구' 3점등 보물 지정
상태바
문화재청, 조선시대 해시계 '앙부일구' 3점등 보물 지정
  • 김종혁 기자
  • 승인 2022.02.22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 시대 서적 '자치통감'과 금동불상도 함께 보물 지정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조선 시대 천문학 기구인 해시계 '앙부일구' 3점, 조선 시대 전적과 불교조각 등 총 5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했다. 이번에 지정된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총 3점으로 각각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성신여대박물관이 소장 중이다. 이 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은 2020년 미국에서 돌아온 환수문화재다.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앙부일영(仰釜日影)으로도 쓰며, 솥이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의미이다.
보물 앙부일구(성신여대박물관소장)문화재청 제공
보물 앙부일구(성신여대박물관소장)문화재청 제공
1434년(세종 16) 장영실(蔣英實), 이천(李蕆), 이순지(李純之) 등이 왕명에 따라 처음 만들었다. 같은 해 10월 종묘 앞과 혜정교(惠政橋, 현 서울 종로에 설치되었던 다리)에 각 1대씩 설치했고, 조선 말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돼 궁궐과 관공서에 널리 보급됐다.

보물 ‘자치통감 권266~270(資治通鑑 卷200六第十五~200七十五)’은 1434년(세종 16) 편찬에 착수하여 1436년(세종 18)에 완료된 총 294권 가운데 권266~270의 1책(5권)에 해당하는 서책이다. 주자소(鑄字所)에서 초주갑인자로 간행된 금속활자본으로, 현재까지 완질(完帙)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유사한 판본이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여러 곳에 소장되어 있으나, 다량으로 간행된 것에 비해 전해지는 내용과 수량이 많지 않아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보물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慶州 芬皇寺 金銅藥師如來立像)'은 높이 3.4미터에 달하는 대형 불상으로, 조선 후기의 유일하고 규모가 가장 큰 금동불 입상이다.
보물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문화재청 제공
보물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문화재청 제공
1998년 분황사 보광전 해체 수리과정 중 건축 부재에서「분황사 상량기(芬皇寺 上樑記)」(1616년)와「부동명활성하 분황사 중창문(府東明活城下分皇寺重創文)」(1680년) 묵서(墨書)가 발견되어 이 약사여래입상이 1609년(광해군 1) 5,360근의 동을 모아 제작된 사실이 확인됐다.  원래 이곳에 봉안되었던 금동약사불은 정유재란(1597년)으로 소실되었으나, 신라부터 이어져온 약사도량으로서 분황사의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 전란 후 얼마 되지 않아 지금처럼 장대한 규모로 복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16년과 1680년에 작성된 두 건의 상량문을 통해 1609년 동(銅)으로 불상을 주조했다는 사실과 불상의 명칭까지 분명히 알 수 있어 이 시기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높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