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 끝났다' - 盧 거국내각, 朴거부
상태바
'연정 끝났다' - 盧 거국내각, 朴거부
  • 매일일보
  • 승인 2005.09.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朴 '거국내각도 연정아니냐' - 盧 '정책노선에 의한 다당제 진일보'

노무현 대통령과 박근혜 대표가 7일 오후2시 청와대 회담을 가졌다.(청와대 사진기자단)
7일 청와대에서 열린 노-박 회담에서 연정, 민생, 선거구제 등 많은 논의를 했지만 핵심인 <연정>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채 끝났다. 결과적으로 기대했던 '합의문'은 나오지 못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민생경제 거국내각'을 제안했지만 박대표는 '이것도 연정의 한 형태다. 노선이 달라 함께 할 수 없다. 야당은 야당의 길을 갈 것'이라며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또한 지역주의 해소를 위한 선거구제 개편에 대한 논의도 했지만 두사람간의 이견만 확인했다.

한편, 노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정책노선에 의한 다당제'를 언급, 파문이 일 것으로 보인다.

연정 냉동정국을 풀 유일한 열쇠였던 '盧-朴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이후 정국은 격랑 속으로 휩쓸려 들어갈 전망이다. 결국 자기 할말만 하고 끝난 盧-朴회담 결렬로 사실상 '연정정국은 끝났다'.
이제 남은 길은 서로 확인한 제갈길로 가는 다음 수순을 밟는 것 뿐이다. 노대통령의 '임기단축 발언' '개헌언급' '다당제 언급', 박대표의 '야당의 길' 발언등이 예사롭지 않다.

박대표, 노대통령 거국내각 제안 일언지하 거절 '야당은 야당의 길 갈 것

노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상생과 포용의 정치는 한나라당이 주문한 것이며, 포용정치의 대표적 사례는 정적이나 야당정치인을 입각시키는 것으로, 거국내각이 전형적 사례"라고 말하면서 "국민의 정부나 나에게도 한나라당에서 거국내각 요구한 적이 있고, 언론도 그런 적이 있다"며 "위기라고 하니까 민생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서 거국내각, 초당내각을 하자는 것"이라고 거국내각 구성을 제안했다. 노 대통령은 "이전에도 거국내각을 제의한 적이 있다."며 "민생 경제의 위기극복을 위해, 민생경제를 위해, 초당내각, 거국내각을 해보자는 것이다"며 '거국내각' 제안으로 다시 한번 연정에 집착했다.

노 대통령은 "우리 헌법은 대통령이 누구라도 총리지명이 가능하도록 돼 있다. 상생포용정치에서 전형적인 것은 정적이나 야당정치인을 입각을 제의하고 그것을 수락하는 일이다"며 "연정으로 일반화된 형태이며 이것은 협상과 포용의 정치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야당이 국정을 위기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여야협력을 하자는 것이고, 합당하자는 것이 아니라 내각만 함께 만들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어 "한국은 지역구도의 다당제인 것이 문제이며 서구의 정책노선으로 인한 다당제는 진일보한 제도"라고 '정책노선에 의한 다당제'를 강조하며 지역정당체제를 해소를 호소했다. 그러나 박 대표는 "거국내각도 연정의 한 형태가 아니냐"며 "한나라당은 민생에는 공감한다. 그러나 대통령의 (연정) 제의에 대해 이 자리에서 말씀 드리겠다. 더 이상 말씀 않기를 바란다"며 연정에 대한 거부의사를 단호히 거부했다. 박 대표는 또 "권력은 국민이 부여하는 것이며 어느 누가 나눈다고 할 수 없다"며 "권력은 가진 만큼 끝까지 책임져야 하는 것이고, 대통령은 경제를 살려야 하고, 야당은 야당대로 할 일이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와 함께 "결코 그런 권력은 원치 않는다"며 "권력은 국민이 줄때에만, 선거에서 국민의 지지를 받을때만 부여받을 수 있는 것이며, 그런 방식은 야당이 없어지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박대표 '그런 권력 필요없다. 야당은 야당의 길을 갈 것'

노 대통령은 박 대표에게 총리직을 제의한 것과 관련해 "우리 정치문화에서는 입각제안을 하면 난리가 난다. 전에도 박근혜 대표에게 장관직 제의를 한 적이 있었다"라고 말하자, 박 대표는 "정식으로 입각제의를 받지 못했다. 비공식 제의라서 거기에 대해서 개의치 않았다. (연정을 하려면) 노선이 같아야 한다. 한나라당은 야당의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거듭 거부했다.박근혜 대표는 또 "대통령은 그동안 한나라당이 없어져야 할 정당이라고 했다. 그래도 한나라당은 그 동안 한나라당이 국민에 의한 선거를 여러번 거치면서 정통성 시비를 하지 말자고 했다. 그런데 왜 연정을 하자고 했는가?"라고 반문했다.그러자 노무현 대통령은 "한나라당이 가진 역사적 부채를 이번에 정리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했다. 이전에 가해와 피해의 구도가 있었다. 목숨을 잃고 고통을 받았던 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 사람들이 진상규명이 필요하다. 한나라당이 역사의 한 단계를 넘어서는 과정에서 반성과 화해를 하자는 것이 어떨까? 대화정치로 가는데 이런 것은 도움이 되지 않겠냐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박 대표는 이에 "우리는 지난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잘못을 충분히 사죄했다. 천안 연수원 등 한나라당이 가진 것은 하나도 없다. 오늘로써 연정에 대해서는 더 이상 연정에 대해서는 말씀을 하시지 않은 걸로 생각하고 가겠다. 상황이 말할 필요가 없으면 하지 않겠지만 상황이 결단을 필요로 한다면 말하겠다.
국민 여론이 연정을 바라지 않는다."며 "무슨 진의가 있으며 진짜 무슨 생각을 품고 계시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노 대통령은 "앞으로 험한 말이나 욕설 야유는 서로 하지 않기로 하자."고 말하자 박 대표는 "선거제도를 지금 시작하면 온통 그애기 뿐이다. 정치인은 경제를 회생시키라는 국민의 뜻을 받들어야 한다. 국민은 잘사는 것 외에 나머지는 관심없다. 내가 상생이야기를 꺼낸 것도 그런 뜻이다. 국민은 지역주의를 벗어났다. 그러나 정치권이 지역주의를 더 공고히 한다."고 밝혔다.

그러자 노 대통령은 "지역구도나 지역감정에 대해서 존재하는 현실과 사실을 외면해서는 안된다.
현실을 말할 줄아는 용기가 중요하다. 나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한말에 대해서는 끝까지 책임을 진다. 지난 대선때 선거 1주일 남기고 공동정부를 하라는 각서를 쓰라길래 그런 식의 공동정부는 없다며 버텼다.단호하게 끊었다. 제대로 하지 않을 바에야 안하는게 낫다고 생각했다. 남은 임기동안 제대로 향상된 정치가 가능하다면 해 보고 싶다. 지난 탄핵때도 어떤 책략도 없었다. 내가 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넘어진 것이다. 모든 것을 내놓고 하니깐 힘을 얻은 것이다"라고 말했다.

박대표 '대통령이 어떤 자린지 잘안다. 그만둔다는 말 말아라'

이에 박 대표는 "대통령 자리가 어떤 자리인지 오래동안 봐서 잘 이해하고 있다. 오해도 많이 받고 24시간 노심초사하고 무한대로 책임지는 자리다"며 "남들은 권력을 지는 자리라고 하지만 무척 외로운 자리다. 노대통령은 후반기 시대적 사명을 잘 생각하고 잘 하셔야 한다. 야당으로 할 이야기 있고 언제든지 하겠다. 그런데 국민을 이길 정치인은 없다. 어딜 가든지 경제 살려달라는 애기 뿐이란걸 이해해주셨으면 한다."고 민생주력을 당부했다.노무현 대통령은 대통령직 사임 의사와 관련해 "노무현 시대를 빨리 끝내는 것을 한나라당이 원하는 것 같아 그랬다."고 말하자 박 대표는 "앞으로 그만 둔다는 말씀을 제발 하시지 말라. 국민들이 불안해 한다"고 답했다.

선거구제도 엇갈려 - 盧 '정책노선에 의한 다당제는 진일보'

이어 노 대통령이 선거구제 개편으로 주제를 옮겼지만 역시 두 사람간의 이견은 컸다.노대통령이 "선거제도는 여야가 논의를 만들어 보자"고 제안하자 박 대표는 "선거구제 논의는 내년 지방 선거는 관계없고 2008년 총선때 자연스럽게 이야길 할 것이다. 만약 지금 선거구제를 논의하면 정국은 블랙홀에 빠져들고 국민에게 외면받을 것이다."며 역시 거부의사를 밝혔다. 박 대표는 이어 "야당이 국민의 뜻을 따르지 않으면 국민으로 부터 외면받는다"며 "한나라당은 선거구제 개편보다 행정구역 개편을 내놓았다"고 말하자 노 대통령은 "그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다. 빨라도 10년이나 20년은 걸릴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답했다. 노 대통령이 거듭 "지역구도 해결에 나의 정치인생이 다 걸려 있다"며 "국가가 분열적 요인 위에서는 발전할 수 없다"면서 '선거구제라도 개편할 것을 요구했지만, 박대표는 "중대선거구제는 여대야소를 고착시키는 것이라며 거부했다. 이에 노대통령은 "정책노선에 의한 다당제는 진일보하는 것"이라고 또 강조했다.노무현 대통령과 박 대표는 정치 현안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있었지만 경제와 민생문제, 그리고 교육문제 등에 대해 깊이있고 진지한 대화를 나누었다. 오경섭 기자 (폴리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