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김경렬 기자] 은행 부실채권 비율이 2020년 3분기 이래 8분기 연속 역대 최저치를 갱신하고 있다. 코로나19로 문을 닫는 소상공인들이 많아지는 등 유례없는 불경기를 체감하고 있지만 부실채권 지표는 다르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소상공인 등 취약층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 착시 효과를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선제적인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고 있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41%를 기록했다. 전 분기 말보다 0.03%포인트(p) 하락하며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전년동기와 비교해도 0.12%p 줄어든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부실채권은 이자가 석 달 이상 밀렸을 때를 의미한다.
부실채권 규모도 줄었다. 지난 6월 말 기준 부실 채권 잔액은 10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에 비해 5000억원 감소했다. 이중 기업 여신은 8조6000억원을 기록, 전체 부실채권의 83.8%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가계 여신 1조5000억원, 신용카드 채권 1000억원 순이었다.
올해 2분기 중 신규 부실 채권은 2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보다 5000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기업여신 신규 부실이 1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5000억원 늘었다. 가계 여신 신규부실은 전 분기와 유사한 5000으로 집계됐다.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2조9000억원이었다. 전 분기 대비 1000억원 늘었다. 손실 체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대손충당금 적립률 역시 지난 6월 말 기준 205.6%를 기록했다. 1분기 말보다 24.0%p 상승한 수치다. 전년동기대비 50.5%p 개선되기도 했다.
금감원이 발표했던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율도 0.20%로 집계됐다. 전월대비 0.04%p 하락한 수치다.
은행에서는 부실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고 있다.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의 올해 상반기 충당금 전입액은 전년동기대비 70.2% 늘어난 1조9841억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실채권비율 하락은 정부 금융지원 조치에 따른 착시 지표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당국은 신용손실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한다고 연신 강조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충격에도 은행이 건전성을 유지해 본연의 자금공급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