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김경렬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우리나라의 자본 유출 징조는 없다고 17일 밝혔다.
이 총재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회의 동행기자단과 간담회를 열고 “자본이 빠져나갈 곳은 (이미) 빠져나갔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나라는 자본 유출이라기보다는 최근 몇 달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이 조정을 겪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재는 “현재 상황을 엄중하게, 열심히 보고 있지만 옛날 같은 위기가 아니라는 말이 빈말은 아니다”라며 “우리나라는 외국인 투자자가 빠져나가는 것보다 내국인 해외투자자가 들어올 여지가 크다.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 상황은 아니다”고 부연했다.
이 총재는 같은날 싱크탱크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를 방문해 한국의 통화정책에 대해 강연하면서도 이같은 입장을 제시한 바 있다. 현재 한국의 금융·경제 여건은 두 차례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1997년 및 2008년 때와 크게 다르고, 현재의 환율 평가절하 역시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주요 나라에 공통적인 현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최종 금리 인상 수준에 대해서는 정확한 답변을 피했다. 이 총재는 “최종 기준금리 수준이 3.5%라고 했는데,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중 3.5%를 웃돌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3.5% 아래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에 대해서도 입장은 같았다. 이 총재는 한‧미 금리 차이가 기계적으로 볼 수 없고 때에 따라 상황을 판단하는 게 금통위의 역할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이 총재는 물가를 잡기 위해 통화를 긴축하면서 경기 둔화를 용인하고 재정부양책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에 공감했다. 재정정책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상쇄하면 안 되고, 취약계층을 타깃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이 총재는 한미 통화스와프에 대해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글로벌 경제 상황을 보고 적절한 시점에 결정할 것이며 그것에 대비해 우리는 연준과 굉장히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이 총재는 통화스와프가 우리나라에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올 뿐 만병통치약은 아니라는 입장을 강조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