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홍석경 기자 | 5대 시중은행에서 최근 2년간 전체의 15%에 달하는 점포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 이용 환경이 열악하고 고령층 인구 비율이 높은 지방에서 감축 폭이 더 컸다. 은행들이 점포를 축소하는 배경은 비대면 모바일·인터넷 거래가 급증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용 고객이 적은 점포 운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다. 금융당국은 노령층과 지방 주민 등을 포함한 소비자 편익 개선을 위해 은행의 무분별한 점포 폐쇄에 제동을 걸기로 했다.
9일 금융감독원 금융정보통계시스템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SC제일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점포(지점·출장소 합산) 수는 3072개로 2020년 9월 말 대비 544개 감소했다. 이는 전체 점포의 15% 수준이다.
우리은행이 최근 2년간 점포 수가 860개에서 714개로 17% 줄어 가장 큰 감축 폭을 기록했다. 신한은행은 870개에서 725개로, KB국민은행은 1001개에서 854개로 점포 수가 각각 줄었다. 지난 2019년 9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전체 점포 수는 3762개로 전년 대비 0.6% 감소했다. 그러나 2020년에는 3.9%, 2021년 7.6%, 지난해 8.1%로 매년 감소율이 커지고 있다.
은행이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고 있는 것은 비용을 절감 목적이다. 인터넷과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건물 임대료와 인건비 등 많은 운영 비용이 들어가는 지점과 출장소를 줄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은행의 점포 폐쇄로 인해 금융 접근성이 취약한 소비자 불편은 가중되고 있다. 지방은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에 비해 주민의 은행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여기에 인터넷, 모바일뱅킹 이용이 쉽지 않은 고령층 인구의 비중이 높다. 이 때문에 지방에서 오프라인 점포가 줄어들면 노인을 비롯한 금융 취약계층이 은행을 제때 이용하기 어려워진다.
금융당국도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은행 점포폐쇄에 제동을 걸었다.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매주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진행하면서 은행의 무분별한 점포 감축을 억제하는 방안을 중점 안건으로 다루기로 했다. 금융위는 특히 은행의 점포 축소나 폐쇄가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 등을 먼저 파악하는 ‘사전영향평가’ 등을 법제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