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반쪽짜리’ M&A 완화에 ‘시큰둥’
상태바
저축銀 ‘반쪽짜리’ M&A 완화에 ‘시큰둥’
  • 홍석경 기자
  • 승인 2023.07.23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체율 상승·업황 악화…업계, “인수합병 여력 없다”
서울 시내 한 저축은행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홍석경 기자  |  저축은행 숙원이던 인수합병(M&A) 규제가 풀렸지만, 정작 업계에선 별로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우량한 서울·수도권 저축은행이 아닌 열악한 지방 저축은행에 대해서만 M&A가 허용돼 수요가 크지 않고, 자금력을 동원해 M&A에 나설 여력도 없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2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저축은행 대주주 변경·합병 인가기준’ 개정안을 마련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저축은행 영업구역이 확대되는 수평적 계열화를 보다 폭넓게 허용한다. 현재 저축은행 영업구역은 수도권 2개(△서울 △인천·경기)와 비수도권 4개(△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강원 △광주·전라·제주 △대전·세종·충청) 등 총 6개로 나눠 관리되고 있다. 그간 금융위는 영업구역 확대를 초래하는 동일 대주주의 3개 이상 저축은행 소유·지배를 불허해왔다.

영업구역을 확대하는 합병도 허용된다. 그간 영업구역이 확대되는 합병은 원칙적으로 불허해왔으나, 개정안은 비수도권 저축은행 간 영업구역이 확대되는 합병을 허용하기로 했다. 영업구역은 최대 4개까지 허용된다.

그러나 정책 수혜 당사자인 저축은행에선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전반적인 업황이 어려워 M&A 수요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 79개사는 올해 1분기 52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고금리 여파로 자금 조달 비용과 연체율이 높아진 데다, 우량 대출자 발굴에도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지방 소재 저축은행과 서울·수도권 저축은행 간 자산 격차가 크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비수도권 저축은행의 M&A가 활성화하려면, 소위 장사가 잘되는 저축은행이 나타나야 하는데 지방 경기가 침체해 이익 내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인수합병에 나서기 쉽지 않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서울 지역의 저축은행 총여신 잔액은 68조2311억 원이다. 이는 경기·인천·부산·대구 등 15개 지역(세종은 잔액 0원)을 모두 합친 수치(43조6253억 원)보다도 더 많은 금액이다. 전국 대비 서울 지역의 총여신 잔액 비중은 61%에 달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실적과 연체율 등이 크게 악화하면서 추가적인 인수합병이 되레 부담만 키울 것”이라고 했다.

담당업무 : 보험·카드·저축은행·캐피탈 등 2금융권과 P2P 시장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