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계빚 딜레마 빠진 금리인상...한미 금리차 역대최대폭 눈앞
상태바
경기·가계빚 딜레마 빠진 금리인상...한미 금리차 역대최대폭 눈앞
  • 이광표 기자
  • 승인 2023.07.26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 연준 이달 이어 가을에도 금리 추가인상 가능성
금리차 2.25%p로 확대될수도...갈림길 선 통화정책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미국이 27일(한국시간) 새벽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사상 처음 2%p 차이로 역전되는 날이 눈앞에 온 것이다.

이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상 사이클의 마지막 스텝을 밟을 거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일각에선 올 가을에도 한차례 더 베이비스텝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미간 금리차가 2.25%p 까지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미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준은 오는 25~26일(현지 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시장에선 연준이 0.2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상을 끝으로 긴축 사이클을 마무리 지을 지에 관심이 쏠린다. FOMC 정례회의 통화정책 결과는 한국 시각으로 오는 27일 오전 3시 발표된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10차례 연속 금리 인상을 이어왔다. 이어 지난 6월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금리 동결을 결정한 바 있다.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은 지난 20일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가 개최한 웨비나에 참석해 "연준이 이달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게 분명해 보인다"며 "7월 금리 인상이 마지막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버냉키 전 의장의 이같은 발언은 당초 연준은 올해 하반기 금리 인상 두 번을 단행할 수 있다고 예고했지만 미국 6월 물가상승률이 3%를 기록, 2021년 3월(2.6%) 이후 2년3개월 만에 최저치를 나타내며 둔화세가 뚜렷해지자 연준이 이번 금리 인상을 마지막으로 통화 긴축을 종료할 것이란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렇게 되면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3.50%)보다 2.0%포인트 차이로 높아진다. 이는 한국이 한번도 가본 적 없는 역대 최대 역전 차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를 비교하면 한국이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비기축국인 한국에 투자하려면 미국보다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미 금리 역전 현상은 지난해 7월부터 시작돼 올 3월에는 2000년 이후 22년여 만에 가장 큰 폭인 1.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이어 5월엔 기존 기록을 깨고 역대 최대 역전 폭인 1.75%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번에도 한·미 금리 역전차가 2%포인트까지 벌어지면 '2차례 연속 신기록'을 경신하는 셈이다. 한·미 금리 역전 차가 커질수록 시장에선 긍정적이지 않은 신호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대다수다. 금리 차에 부담을 느낀 외국인 투자자금이 한국 시장에서 발을 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하지만 국내 주식과 채권시장엔 외국인 자금이 계속 흘러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의 증권투자자금은 29조2000억달러 순유입을 기록했다. 다만 국내 주식 투자자금이 2차전지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한 차익실현 목적매도 등으로 3억1000만달러 순유출을 기록했다. 외국인 채권자금의 유입은 이어지고 있다. 3월(18억1000만달러), 4월(23억3000만달러), 5월(89억6000만달러)에 이어 6월에도 32억3000만달러 순유입이 이뤄졌다. 한은 관계자는 "채권은 6월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출 금리 상승에도 가계대출이 불어나면서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하반기 해외 상업용 부동산 손실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위기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5월(1431억 원)과 6월(6332억 원)에 이어 이달 1∼20일(3246억 원)에도 전월 대비 증가 추이를 나타냈다. 예금 금리 인상은 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부채에 악재가 될 전망이다. 

한은과 금융 당국은 가계부채가 급증할 경우 기준금리 인상 또는 거시건전성 규제 강화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고금리·고물가로 하반기 경기 회복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다. 각종 규제 완화로 살린 부동산 시장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의 조정으로 가라앉을 위험도 있다. 여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하반기 해외 상업용 부동산 투자 관련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더해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