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미국이 시장 예상대로 26일(현지시간) 정책금리(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더 올리면서 한국과 미국간 기준금리 격차가 역대 최대폭으로 벌어졌다.
2%p로 벌어진 역전 폭은 과거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는 수준이다. 그만큼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이 커졌다는 뜻이다.
더구나 한국은행이 반년 가까이 기준금리를 3.50%로 묶어 둔 사이 최근 가계대출까지 다시 빠르게 늘면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다음 달 2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금리 추가 인상을 진지하게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25∼26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0.25%p 올렸다. 한국(3.50%)보다 최대 2.00%p나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동결로 약 15개월 만에 멈췄던 금리 인상을 연준이 재개한 배경으로는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거론됐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단기간의 사회적 비용보다 인플레이션 통제 실패에 따른 장기적 사회적 비용이 훨씬 클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 목표를 향해 내려간다고 확신할 때까지 정책을 계속 긴축적으로 유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날 새로운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는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6월 점도표상 올해 금리 전망치 중간값(5.6%·5.50∼6.00%)을 고려할 때 연말까지 추가 인상이 뒤따를 수도 있다.
파월 의장도 "데이터가 뒷받침된다면 기준금리를 9월 다시 올리는 것도 틀림없이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지만,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 가능성 등 때문에 이번 인상이 마지막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원론적으로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한은도 미국의 추가 인상에 보조를 맞춰 기준금리를 올리고 격차를 줄여야 할 필요가 있지만, 이창용 한은 총재는 앞서 여러 차례 "한·미 금리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고 강조해왔다.
아직은 환율이나 자금 흐름은 나쁘지 않은편이다. 환율은 경상수지 개선 등과 함께 이달 들어 1270∼1280원대까지 내려갔고, 외국인 증권(채권+주식)투자 자금은 올해 2월부터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순유입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지난달 순유입 규모가 5월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데다, 주식만 따로 보면 자금이 3월(-17억3000만달러)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순유출(-3억1000만달러)로 돌아섰다.
하지만 2%p까지 벌어진 한·미 금리차와 이후 추가 확대 가능성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경우, 환율이 다시 오르고 주식이나 채권 시장에 외국인이 돈을 뺄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 경우 이달까지 네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한은 금통위원들도 추가 인상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
한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결정과 관련해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정부는 각별한 경계감을 갖고 대응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모두발언에서 "시장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며 새벽 글로벌 금융시장은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추 부총리는 "우리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모습"이라며 "내외금리차가 2.00%포인트까지 확대돼 불확실성이 다소 확대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있지만, 자본 유출입과 환율 변동의 경우 내외 금리차뿐만 아니라 국내 경제·금융 상황, 글로벌 경제·금융 여건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국인 투자자금은 순유입이 지속되고 있고 환율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외화자금 시장 역시 양호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