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김승현 기자 | 경기 불황에 주 4일제를 바라보는 대기업 반응이 시큰둥하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국가시책도 아닌 주 4일제를 모든 산업과 직군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앞서 주 4일제를 도입했거나, 추가 도입할 예정이던 삼성과 포스코 등 대기업은 이를 하나둘 철회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6월 정규직 12만명을 대상으로 한 달에 한 번 주 4일 근무를 시행했다. 매달 필수 근무 시간을 채우면 월급날(21일)이 포함된 주 금요일에 출근하지 않아 ‘쉬는 금요일’로 불렸다.
1년도 지나지 않아 삼성그룹은 지난 4월부터 ‘전 임원 6일 근무제’를 실시했다. 계열사별 차이는 있으나 토요일과 일요일 중 하루를 골라 출근한다. DS부문 연구개발직과 모바일경험(MX) 사업부는 주 64시간 특별연장근무까지 도입한 상태다.
포스코도 국내 철강업계 최초로 시행했던 격주 주 4일제를 임원에 한해 되돌렸다. 올해 초 포스코는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해당 제도를 도입했다. 2주간 하루 1시간 이상 추가로 일해 총 80시간을 채우면 2주차 금요일에 쉴 수 있는 제도다.
포스코는 이를 시행한 지 6개월 만에 임원을 대상으로 이를 철회했다. 철강업 불황을 타개하려는 조치로써 원가 절감과 임원 임금 삭감까지 병행하는 긴경영에 돌입한 상태다.
2019년 SK텔레콤을 시작으로 SK하이닉스와 SK스퀘어 등 주요 관계사에 월 1~2회 금요일 휴가를 주는 주 4일제를 도입했던 SK그룹도 폐지를 검토 중이다.
SK그룹 측은 “유연함을 넘어 해이해졌다는 반성에 따라 조직 문화에 변화를 주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SK그룹 전체 임원은 주 4일제 적용 대상에서 배제된다. 실제 지난 2월 SK그룹은 24년 만에 토요 사장단 회의를 부활시켰다. 월 1회 평일에 열던 전략글로벌위원회를 격주 토요일 개최로 바꾼 것이다.
전문가들은 주 4일제가 국가시책이 아니기에 지속성은 낮고 모든 산업과 직군에 이를 일괄 적용하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카펠리 와튼스쿨 교수는 “주 4일제는 적용 가능한 직종과 그렇지 않은 직종으로 나뉜다”며 “업무가 미리 정해져 있어 바로 퇴근할 수 있는 업종에만 제한적으로 가능해 독립적인 프로젝트 성격이라면 모를까 상당수 업종에 해당하진 않는다”고 밝혔다.
국가시책이 아닌 것과 관련해서 “만약 법률로 주 4일제를 강제하더라도 기업이 이를 무력화시킬 것”이라며 “다른 근무 시간을 늘리거나 퇴근하고 나서 집에서 일하도록 하며 임금 인상을 중단하는 등 기업이 우회할 수단은 많다”고 진단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교수는 “한국은 제조업 중심 국가로서 생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금융이나 특정 산업에서 시험적으로 한다면 모를까 다 함께 자리를 비워서는 안 되는 제조업은 물론 주 4일제를 모든 산업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귀띔했다.
좌우명 : 언제나 긍정적인 '라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