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BYD를 비롯한 중국산 전기차의 글로벌 공력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미국은 관세 25%로 진출조차 못했지만 약 10%인 유럽은 이미 독일을 비롯해 곳곳에 20% 이상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공포감을 느낀 미국을 필두로 미국은 100% 관세를 부과했고 유럽도 평균 30%를 넘는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 공세를 막기 시작했다.
미국과 유럽시장이 막히자 중국산 전기차는 중동, 동남아시아 및 남미 등으로 향하고 있다. 이 대상 중의 하나가 바로 한국이다. 최근 BYD코리아는 내년 초 한국에 출시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가장 가까우면서도 선진시장이어서 중국의 입장에서는 가장 까다로우면서도 선진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관문으로 활용할 수 있어 의미가 있다. 이미 국내 시장은 전기버스의 과반 정도가 중국산이고 전기 상용모델도 상당 부분 중국산으로 뒤덮인 상황이고 마진선인 전기승용차 시장이 남아 있다. 그렇다고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관세 부과는 더 이상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전기승용차의 경우는 이미 전반기부터 BYD코리아를 중심으로 '돌핀' ‘아토3’ '실'이라는 세 가지 입증된 모델을 중심으로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고 도입시기만 결정하는 단계다. BYD 승용전기차의 한국 상륙은 내년 3~4월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된다. 입증된 차종 인증과 더불어 딜러 모집과 애프터서비스까지 준비된 만큼 본격적인 초읽기에 접어들었다고 하겠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과연 얼마에 판매할 것인가이다. 보조금을 받지 않아도 국내 동급 모델 대비 최소 500만~1000만원 이상의 격차를 두면서 판매할 경우 대중 모델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
BYD 전기차 모델은 종류도 많고 입증된 모델이 많은 상황이며, 최근에는 테슬라의 판매규모를 넘어서 글로벌 전기차 최고 제작사로 부각되고 있어 국내 판매는 더욱 위력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지난 3분기는 매출액 측면에서 테슬라를 넘어 글로벌 최고 전기차 제작사로 등극했다. 최근에는 입증된 전기차 모델은 기본이고 하이브리드차까지 다양하게 모델 출시를 하면서 '전기차 캐즘'까지 극복하는 능력까지 부각되는 상황이다.
BYD의 국내 출시는 각종 관세 등 여려 면에서 정부 차원에서 막을 수 있는 방안이 마땅하지 못한 실정이다. 결국 우리 국산차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단체 등에서 국산차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여러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국산차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몰론 가장 큰 장점인 애프터서비스와 저렴한 공임과 수리기간의 단축 등을 특화하면서 우리 제품에 대한 경쟁력 제고가 더욱 중요한 시기다. 소비자는 고민할 것이다. 품질과 가격적인 가성비를 고려하면서도 ‘메이드 인 차이나’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고 비상시 탈출 등 전기차 제작사가 안고 있는 안전에 대한 확실한 확보 등도 고려해야 한다.
미래 모빌리티 시장은 앞으로 10년 정도 미래를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안개 속인 상황이다. 특히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의 공략은 우리 먹거리에 치명적 역할을 줄 수 있고 까닥하면 중국 시장으로 편입되는 악재까지도 생각할 수 있다. 곧 국내 지사를 설립한다는 글로벌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의 CATL의 진출 언급을 들으면서 걱정이 앞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