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안종열 기자 | 한국 주식시장의 체질 개선을 위해 일본 증시 재편 전략을 참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4일 법무법인 광장 김수연 박사에게 의뢰한 '일본 증시 재편 전략과 시사점'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도쿄증권거래소는 2022년 4월 상장기업별 특성을 고려해 기존 5개 시장을 ‘프라임·스탠다드·그로스’의 3개 시장으로 개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프라임 시장은 ‘글로벌 투자자와의 대화를 중시하는 최상위 시장’이라는 특징에 맞춰 상장·유지 기준을 기존 대비 강화했다.프라임 시장은 상장 유지 조건으로 △유동주식 시가총액 100억엔 이상 △유동주식 비율 35%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신규상장 시 수익 기반 충실의 관점에선 △과거 2년간 이익 합계가 25억엔 이상 또는 △매출 100억엔이면서 △시가총액 1000억엔 이상 기준을 추가했다.
스탠다드 시장은 내수시장으로 ‘투자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유동성과 지배구조 수준을 보유한 기업 시장’으로 규정했으며 그로스 시장은 스타트업 기업을 타겟으로 한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기업 시장’으로 정의했다. 이들 시장도 각 목표를 달성하기에 합당한 상장·유지 기준을 설정했다.
보고서는 강화된 상장기준으로 신규상장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2024년 10월 기준 신규상장은 60개 사인 반면 상장폐지 회사는 82개로 2015년 이후 최초로 신규상장 회사와 상장폐지 회사의 수가 역전된 것이다.
보고서는 “2차 개편이 시작된 초기인 2022년 7월과 2024년 4월의 프라임·스탠다드 시장의 시가총액을 비교한 결과 약 21개월 동안 양 시장의 시총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증권 시장 개편을 실시하며 우선적으로 신규상장·상장유지 요건을 개선해 시장의 신뢰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이후 자본비용·주가를 의식한 자율적 경영 공시제도를 도입했다.
김수연 박사는 “시장의 근본적인 개선 없이 밸류업 공시, 지수개발 등 정책을 추진하는 우리의 접근 방법과 차이 나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이라며 “국내 시장의 구조적 문제인 상장폐지 요건 등을 검토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증시 활성화의 핵심은 ‘시장의 질적 성장’에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