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 패권을 둘러싼 각축전이 갈수록 격해지고 있다. AI 경쟁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글로벌 빅테크(Big-tech │ 거대 기술기업) 간 무한경쟁이 치열해진 양상이다.
챗GPT를 만드는 미국의 ‘오픈 AI’가 지난 5월 13일(현지 시각)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진행된 스프링 업데이트 행사에서 GPT-4의 업데이트 버전 ‘GPT-4o(포오)’를 선보였다. o(알파벳 소문자 o)는 ‘모든’을 의미하는 옴니(omni)에서 따온 것이다. GPT-4o는 기존 모델 대비 처리 속도는 2배 높고, 운용 비용은 절반 수준이다. GPT-4o의 음성 반응 속도는 최소 232ms(밀리초), 평균 320ms로 사람의 실제 대화와 유사하다. 총 50개국 언어를 지원하며 문자, 이미지, 음성을 모두 인식한다. 대화를 하나씩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AI)이 사람의 말을 끊고 끼어들고 실제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빠른 속도로 대화가 가능하다. 듣고 답하는 반응 속도가 불과 1초 안팎으로 충격 그 자체다. 구글(Google)도 하루 뒤인 지난 5월 14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어라인 엠피씨어터에서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I/O)’를 열고 자사의 생성형 AI ‘제미나이(Gemini)’를 탑재한 검색 엔진을 정식 출시했다. 검색 엔진에 생성형 AI를 탑재한 것은 구글 검색이 등장한 이후 25년 만에 가장 큰 전환이자 획기적 변화다. 구글은 또 제미나이와 구글 음성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프로젝트 아스트라(Project Astra)’도 전격 선보였다. 이는 AI가 사람처럼 보고 듣고 대화하면서 이용자의 개인비서 역할을 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구글 지메일과 구글 문서, 캘린더 등 구글 앱에서 개인 정보를 가져와 이용자의 스케줄을 알려주고 계획을 짜주는 식이다. 이용자들은 앞으로 대화하면서 사진과 동영상 등으로도 검색할 수 있다. 구글은 새로운 이 검색 기능을 올 연말까지 10억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틀 뒤인 지난 5월 16일에는 폴라리스오피스도 클라우드기반 솔루션 ‘폴라리스 오피스 AI’의 AI Write(인공지능 글쓰기) 기능에 신규 AI 모델인 GPT-4o(포오)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폴라리스오피스는 지난해 9월 ‘폴라리스 오피스 AI’를 정식 출시했다. 챗GPT와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와 같은 LLM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 스태빌리티AI의 ‘스테이블 디퓨전’ 등 다양한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워드, 한글 등 문서 포맷을 활용할 수 있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를 동시에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다. 지난 5월 9일에는 온디바이스 오피스 AI도 정식 출시했다. 제품 출시로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한 비행기, 야외에서도 AI가 탑재된 오피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 문서·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원천으로 차단해 보안 경쟁력을 한층 높였다. 중국의 바이두·텐센트 등도 AI 개발에서 놀라운 속도로 약진하고 있다. 14억 명 이상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AI 로봇·자율주행 등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인다.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같은 생성형 AI는 빅데이터를 학습해 텍스트·이미지·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내놓고 있다.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시각, 음성과 같은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AI가 수년 내 감정·윤리까지 갖출 정도로 진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인간을 사랑하는 AI를 다룬 ‘그녀(Her)’라는 공상과학(SF) 영화가 현실이 되는 날이 멀지 않아 올 수도 있다.유럽연합(EU)도 지난 3월 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빅테크(Big-tech)’의 거대언어모델(LLM │ Large Language Model) 등에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는 내용의 ‘EU AI법(AI Act)’을 통과시켜 미·중 주도 글로벌 AI 시장에서 자국 기업 보호막을 형성했다.
그런데도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면 참으로 답답하고 속 터지며 안타까울 뿐이다. 우리는 국회에서 AI의 개념을 규정하고 AI산업 육성과 안전성 확보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른바 ‘AI 기본법’으로 불리는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조차 처리하지 못하고 있으니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오는 5월 29일 21대 국회가 문을 닫으면 법안은 자동으로 폐기된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