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최근 한두 달 사이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쑥’ 증가하면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월세 거래량은 ‘뚝’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부족 우려 증대에 따른 전·월세 가격과 매매가격 상승이 지속되면서 기존 임대차 수요가 매매시장으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 전셋값이 1년이 넘게 뜀박질하자 임대차 시장에서 매수 시점을 저울질하던 실수요자가 아파트를 사들이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5월 3일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4월(계약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1만 5,442건으로 집계됐다. 전세가 9,441건, 월세는 6,001건이었다. 이는 지난 2021년 2월 1만 5,018건 이후 3년 2개월 만에 가장 적은 기록이다. 반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매매는 4,343건으로 집계됐다. 3월의4,208건에 이어 두 달 연속 4,000건 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거래량은 이날 기준 2,583건으로, 부동산 거래 신고 기한(30일)이 아직 남은 점을 고려하면 4,000건을 웃돌 것이란 관측이다. 강남, 성동 등 일부 지역에선 신고가 거래가 속출했다. 연내 금리 인하 기대와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세금 완화 추진 소식에 부동산시장이 바닥을 다지고 오름세로 돌아섰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아파트 공급난 우려와 전셋값 고공행진 등이 맞물려 상승론에 힘을 싣고 있다. 이에 반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셋값 불안이 계속 가중되고 있다. 고분양가·고금리로 내 집 마련을 미룬 수요가 전세로 몰린 데다 ‘전세 사기’ 트라우마로 중소형 아파트 수요 증가가 겹쳐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진 탓이다. 그러나 정부는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러다가는 서민 주거 안정은커녕 부동산 가격 안정까지도 다 놓칠 판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4주 차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 올라 54주 연속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2년 이후 세 번째로 긴 상승 기간이다. KB부동산 등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지난달 5월 27일 기준 6억 58만 원으로, 1년 전인 지난해 5월 5억 2,322만 원보다 14.8% 올랐다. 이사이 전셋값이 수억 원 오른 단지가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과 지방 도시에서도 속출하고 있다. 4년 전과 비교해도 대표적 부촌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나, 서울 집값의 마지노선으로 인식되는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전셋값이 급등했다. 전셋값 상승은 전세를 끼고 집을 산 뒤 시세차익을 노리는 갭투기를 자극하는 불씨로 작용한다. 나아가 전셋값 상승은 향후 더 확대될 우려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으로 신규 공급이 줄고, 보증금 5% 이내에서 ‘4년 주거’를 보장한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 5년 차를 맞이하면서 집주인들이 전셋값을 한꺼번에 올리려는 기류도 보이고 있다.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감소가 기름을 붓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은 지난해 36만 5,963가구였는데 올해 입주 물량은 33만 1,729가구로 전년 대비 9.32% 감소가 예상된다. 심지어 내년엔 24만 1,785가구에 그쳐 2013년 19만 9,633가구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무엇보다도 서울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올해 2만 3,786가구로 지난해 3만 2,759가구보다 무려 27.39%나 줄어들 것이라 예상된다. 2025년엔 2만 3,000가구, 2026년엔 3,200가구로 더 줄어들 전망이다. 결국 한정된 땅덩이에서 아파트 신규 공급의 최대 해법이라 할 수 있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공사비 급등과 주택시장 침체 등의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2026년까지 주택 공급량이 부족한 것까지 고려하면 앞으로도 2~3년간 전셋값 상승이 이어질 공산이 크다. 따라서 정부는 임대주택 공급 확대로 전세 수요를 분산시키는 등 아파트 전세 수급 불균형 완화에 초점을 맞춘 특단의 대책을 서둘러 내놔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