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음악의 감동을 '철학'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피터키비』
상태바
[신간] 음악의 감동을 '철학'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피터키비』
  • 김종혁 기자
  • 승인 2024.11.29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 김종혁 기자  |  음악의 감동을 '철학'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우리가 음악을 듣고 ‘정서’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예컨대 축 처진 선율, 완만한 진행, 느린 템포, 어두운 단조성을 듣는 데 그치지 않고 어째서 거기에서 ‘슬픔’까지 듣게 되는 걸까?

단순해 보이지만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또렷하게 답하기 쉽지 않은 이 문제에, 피터 키비는 분석철학을 바탕으로 삼아 예리하고 섬세한 해답을 제시한다.
컴북스이론총서 '피터 키비' 정혜윤 지음 133쪽
이 책은 분석철학적 음악미학의 초석을 놓으며 음악철학의 지평을 한 단계 끌어올린 키비의 사상을 담았다. 우리가 음악을 듣고 정서를 느끼는 주요 원인인 음악의 ‘정서표현성’, 음악이 주는 즐거움을 단순한 ‘자극’ 이 아니라 고차원의 ‘지각적·인식적’ 즐거움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 음악의 소리 구조를 형식주의 관점에서 분석할 때의 이점 등을 설명한다. 음악을 철학적으로, 즉 ‘논증과 추론의 체계’를 바탕으로 사유하며 더 풍성하게 감상할 수 있는 길로 안내한다. 피터 키비(Peter Kivy, 1934∼2017)는 분석철학 전통 음악미학의 초석을 놓은 선구자다. 미시간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예일대학교에서 음악사 석사 학위를 받았고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브루클린칼리지를 거쳐 1967년부터 2015년까지 럿거스대학교 철학과에서 교수를 지냈다. 초기에는 주로 프랜시스 허치슨을 중심으로 한 18세기 영국 미학을 연구했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는 음악철학을 주로 연구했다. 음악의 정서표현성, 음악의 지각과 이해, 음악 작품과 연주의 존재론, 음악적 감동, 음악적 심오함, 음악적 재현의 유형학, 연주의 정격성 등 음악에 관한 거의 모든 주제를 아울렀다. 특히 ‘순수음악’에 대한 관심이 이들 모든 주제를 관통하고 있다. 음악의 정서표현성을 형식주의 안에 포괄해 낸 ‘개선된 형식주의(enhanced formalism)’와 ‘윤곽선 이론(contour theory)’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은이 정혜윤은 서울대학교에서 음악이론으로 학사 학위를, 미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미시간대학교(앤아버)에서 음악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체화된 마음과 뇌≫(2024), ≪음악 비평, 분석, 해석≫(2020),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 (2019), ≪몸과 인지≫(2015), ≪예술철학≫(2011) 등이 있고, 번역서로 ≪새로운 마음 과학≫(2024)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인공지능의 예술도 진정한 예술이 될 수 있을까?”(2023), “마음의 음악적 확장”(2021), “음악의 정서표현성에 대한 현대분석철학의 논의와 그 한계”(2021), “음악의 행위성: 발제주의에 의한 해명”(2018), “개념적 혼성의 음악적 적용”(2017), “신경미학, 무엇이 문제인가?”(2016) 등이 있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