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이혜경 기자 | 내수 부진의 여파와 산업구조 변화로 국내 일자리 창출 효자 부문인 제조업과 건설업 분야에서 고용 한파가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1만3000명)·교육업(10만6000명)·정보통신업(7만1000명) 등은 취업자 수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제조업과 건설업의 취업자 수는 감소세를 보였다.
내수 부진 및 산업구조의 변화와 제조·건설업 취업을 기피하는 청년층이 정보통신과 서비스업에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달 439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9만5000명 줄었다. 지난해 4월 9만7000여명이 감소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며 5개월 연속 줄었다. 특히 전자부품·의복·종지 펄프류 등의 감소폭이 커졌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208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9만6000명 줄면서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건설경기 악화로 인력을 줄이면서 건설현장이나 아파트 경비 인력파견을 비롯한 사업지원서비스업의 일자리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정부는 지난 11일 일자리전담반 회의를 개최해 제조·건설업 고용이 감소한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도 큰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취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먼저 건설일용근로자를 대상으로 내일배움카드의 한도를 500만원으로 상향해 전직을 위한 훈련을 충분히 받도록 지원하고 임금체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이음센터의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최은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경기가 어려워 공사 수주가 줄어드는 가운데 외국인력이 증가하고 청년층이 사라지며 건설업에서 내국인의 일자리 찾기는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스마트건설 기술의 발전으로 기계가 인력을 대체하는 현상이 가속화할 것이기 때문에 단순노무직·일용직보다는 숙련 인력을 양성하고 정부에서도 이들을 지원하는 양질의 교육이 필요하다”며 “청년층에게도 이러한 산업의 흐름에 맞춰 교육하고 건설현장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종강 성공회대 노동아카데미 교수는 “내수 부진과 4차산업혁명 시대로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며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지고 제조·건설업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이러한 현상이 심해질 것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